- 입력 2025.11.06 18:06
"미래산업 선도 전략적 투자자·글로벌 협력 촉진자로 진화해야"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황기연 수출입은행장이 "AI·반도체·바이오·방산 등 미래 성장산업을 선제적으로 육성해 수은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여는 정책금융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6일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황 행장은 "수출입은행은 이제 단순한 수출금융기관을 넘어, 미래산업을 선도하는 전략적 투자자이자 글로벌 협력 촉진자로 진화해야 한다"며 "수은의 역량을 미래 성장산업과 통상위기 극복, 글로벌 협력 강화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황 행장은 이날 ▲미래 전략산업 지원 ▲중소중견기업 지원 강화 ▲글로벌 사우스 협력 확대 ▲현장 중심 정책금융 강화 등 4대 중점 과제를 제시했다.
그는 "AI·반도체·바이오·방산 등 기술 선도 산업의 초기 투자부터 수출·해외 진출까지 전 성장단계를 아우르는 금융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AI 대전환 시대에 맞춰 주요 산업의 피지컬 AI 도입과 인프라 구축에도 정책금융의 역할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직·간접 투자를 활성화하고, 이를 위한 법적 제약 해소 방안도 정부와 국회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중소·중견기업 지원 의지도 강조했다. 그는 "관세 장벽과 환율 변동에 직면한 중소기업들이 생존을 넘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수은이 든든한 보호막이 돼야 한다"며 "성장 단계별 맞춤형 금융솔루션을 제공하고, 대미투자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금융 수요에도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수은은 개도국의 발전과 한국의 국익을 동시에 도모하는 전략적 협력 파트너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며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을 강화해 대외경제협력기금을 전략적으로 운용하고, 개도국 인프라·에너지 진출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정책금융의 실질적 역할도 강조했다. 그는 "정책금융은 보고서 속 문장이 아니라 현장에서 고객과 함께할 때 힘을 발휘한다"며 "방산·원전 등 대규모 전략사업은 정부·민간과 협업해 속도감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중소기업은 절차를 간소화해 생산적 금융의 효과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황 행장은 조직 운영 방향으로 ▲AI 기반 디지털 전환 ▲성과 중심 인력 운영 ▲노조와의 협력 강화를 제시했다. 그는 "AI·빅데이터 기반 자동심사 시스템과 생성형 AI 업무시스템을 도입해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근무환경을 만들겠다"며 "노조와의 협력을 강화해 신뢰와 상생의 조직문화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마지막으로 황 행장은 "수은이 과거 대한민국의 산업화와 세계화를 이끌었던 것처럼, 이제는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통상위기 극복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