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진형 기자
  • 입력 2025.11.08 10:25

수사기간 3주 남은 특검, 체포영장 청구 검토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1)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1)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순직 해병대원 사망 사건의 핵심 피의자로 지목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특검팀의 두 번째 소환 통보에도 불응했다. 특검은 강제 구인 절차를 포함한 대응 방안을 고심 중이다.

8일 순직해병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예정된 2차 소환 조사에 출석하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 측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며 "오늘 조사에는 응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지난달 23일 첫 소환 때도 같은 이유로 불출석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앞서 "변호인들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 등 다른 일정으로 입회가 어렵다"며 오는 15일로 소환 일정을 재조율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특검팀은 수사 기간이 3주밖에 남지 않은 만큼 더 이상 조사 일정을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이다.

윤 전 대통령은 해병대 수사 외압 및 범인도피 의혹 등과 관련해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범인도피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2023년 7월 경북 예천 수해 현장에서 해병대원 1명이 순직한 사건 이후, 해병대수사단의 보고에 격노해 수사기록 회수·수정에 개입하고 국방부검찰단이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을 항명 혐의로 수사·기소하도록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또 윤 전 대통령은 같은 해 말 법무부·외교부·국가안보실 관계자들과 공모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피의자 신분임에도 주호주대사로 임명, 해외로 도피시킨 것 아니냐는 의혹에도 연루돼 있다. 이른바 ‘런종섭 의혹’이다.

특검팀은 이날 조사가 무산됨에 따라 법원에 체포영장을 청구해 윤 전 대통령을 서울구치소에서 강제 인치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정민영 특검보는 전날 "조사 불발 시 체포영장 청구 여부를 포함해 모든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검토 중이지만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특검의 수사 종료 시한은 이달 말이다. 윤 전 대통령이 계속 조사에 불응할 경우 특검팀이 체포영장 청구 또는 소환 재통보 등 초강수로 대응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