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8.15 06:30

[뉴스웍스=백종훈 기자] 지난 1일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가 발생했다. 이 불로 주변에 있던 차량 40여 대가 불타고 100여 대가 연기에 그을리는 등 재산적 피해가 발생했다.
이 아파트 주민 22명이 연기를 들이마셔 고통을 호소하는 등 인적 피해도 발생했다. 전기 공급이 끊기면서 500여 세대 주민들은 떠돌이 신세가 됐다.
전기차의 지하 주차장 주차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기차는 화재 발생 시 '배터리 열 폭주'로 진압이 어렵다는 이유가 가장 크다.
지하 주차장이 소방차 등 장비 진입이 어렵고 유독가스 배출도 잘 안되는 밀폐공간인 탓도 있다.
실제로 최근 서울의 한 아파트에는 전기차 차주를 대상으로 '지상에 있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해달라'는 안내문이 걸리기도 했다. 최근 연이은 전기차 화재에 '포비아(불안감)'가 커진 데 따른 것이다.
이처럼 전기차를 향한 시선이 '기술 집약체'에서 '사고뭉치'로 내려오면서 이와 관련한 자동차보험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등록 전기차 60만대…1대당 평균 보험료는 89만원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 등록 대수는 2022년 말 기준 38만9855대다. 이는 2018년 말 기준 5만5756대의 8배에 가까운 수치다.
전기차 수요는 이후에도 폭증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까지 국내에 등록된 전기차 누적 대수는 60만6610대다.
개인용 자동차보험에 가입된 전기차는 2022년 말 기준 15만7000대로 전체 승용차 1779만대 중 0.9%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처럼 비중은 적지만 차보험 가입 연평균 증가율은 60%에 달한다. 2018년 말 기준 차보험에 가입된 전기차는 2만4000대에 불과했다.
전기차 1대당 평균 보험료는 2022년 말 기준 89만3000원을 기록했다. 이는 비(非)전기차 70만7000원보다 1.26배 많은 액수다.
이런 전기차와 비전기차 간 보험료 차이는 자기차량손해(자차) 보험료에서 두드러진다.
우선 전기차의 차량가액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식 5년 이하 자동차를 기준으로 볼 때 전기차의 평균 차량가액은 2022년 말 기준 4784만원이다. 이는 비전기차 2597만원보다 1.8배 많은 액수다.
또 전기차에 들어가는 고전압 배터리, 전자제어장치, 센서 등 부품비가 비전기차 부품비보다 비쌀 뿐만 아니라 수리 기간이 긴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전기차 평균 부품비는 167만원 수준이다. 평균 수리비는 269만원이며 평균 수리 기간은 10.7일이다. 비전기차의 평균 부품비와 수리비, 수리 기간은 각각 103만원, 192만원, 8.3일이다.

◆전기차 화재, 작년에만 72건…"배터리 교체 증가할수록 보험료 오를 것"
문제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고전압 배터리가 전기차 보험료를 더 인상하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배터리는 부분 수리가 어려운 데다가 화재에 대한 우려로 경미한 손상에도 통째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수리 후 화재 등 2차 피해 우려로 경미한 손상에도 배터리 교체를 선택하는 게 관행이 됐다.
배터리 교체 비용은 최소 2000만원 수준으로, 적정 수준의 보험료 산정에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소방청에 따르면 전기차 화재는 지난 4년간 매년 약 2배씩 증가했다. 2020년 11건, 2021년 24건을 기록한 데 이어 2022년 43건, 2023년 72건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화재나 폭발에 의한 전기차 자차 담보 사고 건수는 1만대당 0.78대꼴로 조사됐다. 이는 비전기차 1만대당 0.90대보다 낮은 수치다.
다만 화재나 폭발에 의한 전기차 사고 건당 손해액은 1306만원으로 비전기차 697만원보다 1.87배 높게 나타났다.
배터리의 주원료인 리튬이온은 불안정한 금속으로 계절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에 민감하고 고전압, 과충전 시 발열 문제로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화재 진화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편이다.
이런 배터리의 불안전성에 더해 전자제어장치, 센서 등 부품의 수리비 상승으로 경미한 사고에도 내연기관차보다 사고 피해 규모가 크고 리스크 측정이 어려운 것이다.
보험연구원 관계자는 "소비자 측면에서 볼 때 전기차 차보험 특약 가입 시 배터리 교체 보상은 경제적 부담 완화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렇지만 전기차 시장이 확대함에 따라 배터리 교체 건수가 증가하면 보험사 손해율 증가는 물론 장기적으로는 소비자의 전기차 차보험료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 [보험 톺아보기] 증시 훈풍에 변액보험 인기 상승…변동성 장세 대응도 다양
- [보험 톺아보기] 굳건해지는 보험GA 4강 체제…소속 설계사만 6만명 넘어
- [보험 톺아보기] 불황에 대출·해약 급증…'보험계약 재매입' 대안되나
- [보험 톺아보기] "KB라이프 설계사 영입경쟁"…입김 세지는 GA 자율협약
- [보험 톺아보기] 보험사도 나서는 '신탁'…인구 고령화에 190조 시장 규모
- [보험 톺아보기] 조각투자 나선 우리금융 M&A…우량매물보다 비용에 꽃힌 이유
- 추락한 독일차, 뜬 일본차…수입차 시장 '전기차 포비아' 들썩
- [보험 톺아보기] DB손보 "미탑승 사고도 보장"…진화하는 운전자보험
- [보험 톺아보기] '늘어나는 보험분쟁' 독립손해사정사 선임 확대하나
- [보험 톺아보기] 삼성생명도 뛰어든 배타적사용권 러시…"고령화 시대 소비자 편익 증대"
- [보험 톺아보기] 국내 체류 외국인 260만…"보험 전문 판매채널 만들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