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12.10 11:25
한기호 "계엄 선동 하지 않아…군 출신으로 참담"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은 10일 "계엄 초기 투입됐을 때 명령을 거부하지 못해 후회스럽다"고 밝혔다.
곽 사령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 출석해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이 '왜 바로 거부하지 못했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하며 "당시에는 급박하게 명령을 계속 받아 군인으로 가야한다는 사명감으로 출동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후에 도저히 납득이 안 돼서 항명인 걸 알았지만, 중간에 국회 의사당에 진입하지 말라고 지시했고, 상황이 종결되면서 바로 철수토록 했다"며 "최초 명령을 받을 때 거부하지 못해 후회스럽다. 변명의 여지가 없다"고 덧붙였다.
'국회의원이 150명이 넘으면 된다는 지시가 있었냐‘는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는 "국회의사당 안에 있는 인원이 100~150명 넘으면 안 된다는 내용이 위로부터 지시가 내려온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위가 누구냐'는 질문에는 "일차적으로 제가 장관(김용현 전 국방장관)이라고 했고, 그 이상에 대해서는 여기서 추가로 드릴 말씀은 없다"고 언급했다.

한편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번 국정감사 때 야당 의원들이 계엄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고, 저는 '계엄 계획 자체를 검토해야 한다. 무슨 문제가 있는지 알아야 된다'고 했다"며 "그때 그걸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검토했으면 이런 사태가 발생하지 않았다. 계엄에 대해 전혀 검토하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민주당 최고위에서 '계엄을 선동한 한기호'라고 표현했는데, 계엄 계획을 검토했으면 이런 일이 안 생긴다"며 "선동하지도 않았고, 제 입장을 정확히 '참담하다'고 했다. 매도 말라"고 주문했다.
3성 장군 출신인 한 의원은 전날 국방위에서 "참담하다. 대통령이 정치적 과오를 만회하기 위해 군을 동원한 것 자체가 군인 출신으로 경악할 수밖에 없고 부당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민주당 비상최고위원회의에서 김민석 최고위원은 "계엄 심의 국무회의 기록을 즉각 수사해 중한 책임을 가려내야 한다. 국방위는 오늘이라도 추가 계엄 방지 입법을 다 긴급 처리해야 하고, 방해하면 위원장이든 위원이든 다 물러나야 한다"며 "계엄을 선동한 한기호 의원은 즉시 국방위에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