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7.30 15:39
'카드사 책임론' 부상…롯데카드 향하는 검찰·피해자 칼끝
"신용등급 완화 화근" vs "채권 발행 주체 책임 규명해야"

[뉴스웍스=손일영 기자] 홈플러스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전단채, ABTSB) 투자자들이 채권 만기 미환급 사태에 대한 롯데카드의 책임론을 제기했다.
홈플러스 물품 구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30일 롯데카드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롯데카드에 전단채 투자자 채권 전액 인수를 촉구했다.
전단채 투자자들은 지난 3월 홈플러스의 갑작스러운 기업 회생으로 투자 금액이 묶여 고통을 겪고 있다. 증권사를 통해 개인에게 팔린 전단채 금액은 1777억원으로 전체 채권 발행액의 약 44%에 달한다.
피해자 비대위는 MBK파트너스가 2019년 인수한 롯데카드를 동원해 경영이 악화하던 홈플러스의 전단채 미환급 사태를 자초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롯데카드가 홈플러스에 받을 카드 대금으로 투자자의 원금을 우선 변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단채 피해자들의 고소·고발을 접수한 검찰도 관련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지난 14일 롯데카드 본사에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한 바 있다.
◆"경영 리스크 몰랐나"…MBK·롯데카드, 홈플러스 신용 기준 임의 하향 의혹
홈플러스 물품 구매 전단채는 홈플러스가 쓴 '법인구매전용카드' 대금을 토대로 증권사와 SPC(특수목적법인)가 만든 채권 상품이다. 이를 통해 홈플러스는 카드 자금을 조달하고, 추후에 카드 대금을 SPC에 내면 전단채 투자자가 상환을 받는 구조다.
피해자들은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와 롯데카드의 법인구매전용카드 이용 계약 변경에 부당 개입해 신용기준을 낮춰주는 등 홈플러스의 유동성을 확대했다는 설명이다.
이의환 전단채 피해자 비대위 집행위원장은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은 홈플러스 공동대표를 역임하고 롯데카드의 이사로 등재돼 있다"며 "재무 구조 악화와 영업 손실 등의 위험 신호가 장기간 감지됐음에도 카드사가 홈플러스의 유동성을 늘려줬다는 것은 통상적으로 이해하기 힘들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2022년 7월 롯데카드와 현대카드는 법인구매전용카드 회원 약정서의 일부 내용을 바꿨다. 기존에 홈플러스의 유효신용점수 기준인 '사채등급 BBB+ / 단기등급 A3+'를 '사채등급 BBB / 단기등급 A3'로 완화했다. 계약 변경 이후 꾸준히 경영 리스크가 부각됐던 홈플러스의 롯데카드 이용금액은 2023년 1200억원에서 2024년 7900억원으로 급증했다.
다만, 카드업계는 카드사의 책임론을 제기하는 전단채 피해자들에 난색을 보인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롯데카드와 현대카드는 2020년 신한카드가 홈플러스의 법인구매전용카드 신용 기준을 변경한 데 따라 약정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며 "애초에 증권사와 신용평가사의 검증 없이 카드사 임의로 약정 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한 구조"라고 주장했다.

◆카드사, 홈플러스 전단채 책임 소재 불분명…"채권 발행 구조 관여 어려워"
일각에서는 홈플러스 전단채 미환급 사태에 책임을 채권 발행 주체인 신영증권과 SPC에 물어야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전단채 투자자들이 홈플러스의 직접 채권자가 아닌 만큼 홈플러스와 자금 조달 지원을 맡은 카드사의 책임을 묻는 것은 과도하다는 설명이다.
이에 홈플러스와 신영증권은 현재 전단채 발행 경위 관련 사기 등 혐의로 쌍방을 형사 고소하며 법적 다툼을 벌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카드사는 SPC에 카드 대금 매각만 진행하는 만큼 증권사의 전단채 위탁판매 구조를 알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불완전판매 의혹이 있다면 책임 소재는 증권사에 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측 역시 "법적으로 채권자의 투자 금액 변제 의무는 없지만, M&A를 통해 투입되는 자금을 기반으로 카드 대금의 최종 변제 책임을 이행함으로써 전단채 투자자의 투자금 회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 검찰, 롯데카드 압수수색…'홈플러스 사태' 의혹 수사
- 각자 대표 체제 택한 신영증권…홈플러스 '전단채 사태' 진화할까
- 금감원 "MBK·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 사전 인지 가능성"
- 신영증권 등 증권사 4곳, 홈플러스 형사 고소…MBK 김병주 미포함
- 현대카드 본사 찾은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카드 매출채권 소비자 반환해달라" 촉구
- 홈플러스, 15개점 폐점에 무급휴직까지…"정부 소비쿠폰에 유동성 악화"
- '967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사고 발생…고객 데이터 유출 '우려'
- 이억원 후보자 "MBK·홈플러스 사태, 위법 확인 시 엄중 조치"
- 홈플러스 입찰에 '완전자본잠식 기업' 참여?…에디슨모터스 데자뷔 될까
- 신영증권, AI 에이전트 방식 '불완전판매 모니터링솔루션' 도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