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6.13 18:30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이달 24~25일 열리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 참석할지를 두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대통령이 이 회의에 참석할지 여부에 따라 향후 우리나라 외교의 방향이 미국·일본·유럽을 중심으로 전개될지 아니면, 예전보다는 러시아·중국·북한을 중시하는 외교로 갈지 하나의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의 외교안보 라인은 두 개의 축으로 가동되고 있다. 그중 하나는 대선 전부터 외교안보 자문 창구 역할을 했던 후보 직속 글로벌책임강국위원회가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산하 동북아평화협력위원회다.
두 곳은 모두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 이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나토 정상회의 참석 여부를 검토해 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결론적으로 참가 여부를 두고 두 위원회의 입장이 나뉘었다.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주도의 글로벌책임강국위원회에서는 비외교관 출신을 중심으로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 회복을 고려해 G7과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실질적 측면에서도 나토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 대통령에게 한미 방위비 분담금 문제 등을 거론할 경우, 이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히는 게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얘기다.
반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주도의 동북아평화협력위원회는 "외교적 일관성과 대외적 메시지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고, 나토·IP4(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정상회의는 한국 민주주의 복원력과 방위산업 수출 진흥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중요 고리"라고 평가했다. 이는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쪽에 무게중심이 실려있는 발언으로 읽혀진다.
대체적으로 외교관 출신들은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해야 한다는 주장이 상대적으로 우세하고, 그 외의 전문가들은 남북관계 개선 때문에라도 중국·러시아와 관계 회복을 할 필요가 있고, 또 대통령 취임 후 준비기간이 짧았던 점을 고려해 나토 정상회의에 불참하는 게 낫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G7 정상회의는 이 대통령이 참석하는 것으로 정리가 됐다. 문제는 나토 정상회의 참석 여부로, 결과는 아직 미지수다.
나토 소속 국가 등 국제사회는 한국의 선택을 예의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한 일본 소식통은 이재명 정부가 나토 정상회의에 불참할 가능성에 대해 "민주주의 국가로서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지키는 데 불참하면 '입장을 달리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고 피력했다.
이런 가운데, 여권의 한 핵심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애초부터 '국익 중심 실용외교' 기조인 데다가, 고심 끝에 G7 정상회의 참석을 결정했으니 나토 정상회의에도 참석할 가능성이 크지 않겠느냐"며 "나토 정상회의에 불참한다면 그 자체가 미국·일본·유럽을 중심으로 한 외교가 아닌 다른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는 식의 해석이 나올 소지가 있어 불참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나토 정상회의 참석 여부는 궁극적으로 이 대통령이 캐나다에 다녀온 이후 여러 가지 국내외 여건 등을 보아가며 검토해 보겠지만, 불참보다는 참석으로 기울 확률이 커 보인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 대통령실 국정상황실장에 송기호 변호사 임명
-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日국가안전보장국장과 첫 통화
- 李대통령, 재계 총수들 만나 '원팀' 강조…"실용적 통상외교 펼치겠다"
- 이재명 랠리에 5000 꿈 두둥실…코스피, 역대 최고치 갈아치울까
- 이 대통령, 호주 총리와 첫 통화…"국방·방산 협력 강화"
- 李 대통령 "정치 가장 중요한 사명, 국민 안전·평화…든든한 울타리 될 것"
- 이재명, G7 참석차 16일 캐나다 출국…첫 해외 정상외교 행보
- 李 대통령, G7 정상회의 참석차 오늘 출국…외교 무대 '데뷔'
- 국정기획위 출범…"'진짜 대한민국' 청사진 60일 내 마련"
- 김병기 “李정부 '불침의 항공모함' 될 것…G7서 외교성과 기대”
- 이종석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무산'…정보위 전체회의 취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