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민서 기자
  • 입력 2025.06.16 10:00
이재명 대통령. (출처=이 대통령 SNS)
이재명 대통령. (출처=이 대통령 SNS)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이재명 정부의 5년 국정운영 방향을 설계할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16일 공식 출범했다. 위원회는 이날 오전 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현판식과 임명장 수여식을 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이날 행사에는 위원 전원이 참석했으며, 임명장 수여 직후 김진표 전 국정기획자문위원장이 강연자로 나서 문재인 정부 당시 자문위 운영 경험과 활동 시 유의 사항 등을 공유했다. 곧이어 이한주 위원장 주재로 제1차 전체회의도 열렸다.

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국정기획위원회 운영계획'과 '새 정부 국정과제 수립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위원회는 인수위 없이 출범한 이재명 정부가 국정운영의 큰 틀을 빠르게 정비하고, 국민 참여 기반의 정책 구상을 구체화하기 위해 설치됐다. 활동 기간은 약 60일이다.

이한주 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위원회 운영의 두 가지 핵심 원칙을 제시했다.

먼저 새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과 과제는 신속히 수립하되, 국민과 기업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해 실효성 있는 정책 수단으로 연결하겠다는 방침이다. 예산, 법령, 규제 합리화 등 실행력을 높일 수단도 함께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과제의 규모와 성격에 따라 단기·중장기 과제로 구분해 각각 적절한 속도로 조율하고, 기후 대응 등 미래 과제는 연차별 실행계획을 마련해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 (출처=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 홈페이지)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 (출처=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 홈페이지)

정부조직개편은 별도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완성도 높은 개편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과도하게 집중된 권한과 기능은 분산·재배치하고,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뒷받침할 행정 효율성 확보,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조직 정비 등도 주요 개편 방향으로 제시됐다.

이 위원장은 "중장기 조세·재정 개혁과 같은 다양한 구조개혁 아젠다도 함께 논의해 구체적 해답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총 7개 분과위원회(▲국정기획 ▲경제1·2 ▲사회1·2 ▲정치행정 ▲외교안보)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분과별로 하루 2차례 회의를 열어 공약 검토와 함께 소관 분야별 국정과제 및 조직개편 방향을 논의하고, 운영위원회와 전체회의를 통해 조정·의결하게 된다.

또 '국민주권위원회'와 '국정자문단'을 함께 운영해 국민 의견을 국정과제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전문가 간담회, 현장 방문 등을 통해 다양한 정책 제안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위원들에게 "공약집을 위원회 활동 내내 곁에 두고 숙지해달라"며 "늘 공부하고 토론하며 적극적으로 배우는 자세로 진력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