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광하 기자
  • 입력 2025.09.09 09:31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국회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박광하 기자)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국회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박광하 기자)

[뉴스웍스=박광하 기자]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8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이진숙 축출을 위한 원대한 계획이 완성됐다'는 제목의 글을 올려 이재명 정부의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신설 움직임을 비판했다. 최근 정부가 내놓은 정부 조직 개편안이 자신을 해임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것이다.

이 위원장은 "한 사람을 잘라내기 위해 공적인 권력과 법이 동원되는 현장들을 떠올렸다"며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벌어지는 역사의 비극"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취임한 지 1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겪은 일들을 시간 순으로 나열하며 "축출을 위한 원대한 계획은 이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주장했다.

이 위원장은 지난해 7월 인사청문회와 추가 청문회, 8월 취임 이틀 만에 탄핵 소추, 사흘 만에 가결된 일련의 과정들을 언급했다. 이어 법인카드 내역 관련 고발, 정치 중립 위반 감사원 감사와 경찰 고발, 공직자윤리위원회 조사 요구, 뉴스타파 고소 등 여러 사건들을 열거했다. 그는 대통령실의 국무회의 참석 배제(2025년 7월 9일), 휴가 신청 반려(2025년 7월 22일)에 이어 직권면직 검토(2025년 8월 29일) 발표까지 거론하며 정부의 압박을 받아왔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우상호 정무수석이 "출마할 생각이 있으면 그만두고 나가는 게 맞지 않느냐"면서 사퇴를 요구한 일도 언급했다. 그는 "민주당은 우리가 상상하는 모든 것을 한다. 우리가 상상하지 못하는 것도 한다"며 "만약 2인 체제가 불법이라면 불법적인 상황을 만든 것은 민주당이며, 이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당사자도 민주당"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위원장은 '방송통신위원회 폐지,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신설'을 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발표를 '이진숙 자동 해임'으로 규정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9월 25일 조직법 개정안을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법대로 되지 않을 때 법을 바꾸는 것, 그것이 뉴노멀이 됐다"며 "그것을 독재라고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