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10 14:00
5년간 첨단전략산업에 150조 공급
은행·연기금 등 민간자금 참여 유도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정부가 향후 5년 동안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한다. 담보·보증 중심의 기존 금융을 투자·지분 참여 중심으로 바꾸고, 은행·연기금 등 민간 자금을 첨단산업으로 유도해 '생산적 금융 대전환'을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금융위원회는 10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를 열고, 펀드 비전과 운용 전략을 발표했다. 당초 100조원으로 계획된 펀드 규모는 150조원으로 확대됐다. 첨단전략산업기금 75조원과 민간·연기금·금융권·국민 자금 75조원으로 구성된다.
펀드는 인공지능·반도체·바이오·백신·방산·로봇·수소·2차전지·디스플레이·미래차 등 10대 첨단산업 전반에 투입된다. 제조업의 인공지능 전환(AX), 대형 메가프로젝트, 지역 스케일업 기업까지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금융위는 이번 펀드를 '생산적 금융 대전환의 대표 과제'로 규정했다.
은행의 예대마진 중심 영업구조를 넘어 ▲직접·간접 지분투자 ▲인프라 투융자 ▲초저리 대출 등 다양한 수단으로 첨단산업에 장기자본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산업은행은 첨단전략산업기금 운용 과정에서 기금채 이자 등을 부담하며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재정은 후순위 출자 방식으로 민간 참여를 유도한다.
아울러 금융권과 연기금은 자율적으로 참여하되, 건전성 규제와 운용규제는 유연하게 적용될 방침이다. 금융위는 이를 통해 최대 125조원 규모의 부가가치 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 진행된 자율토론 세션에서는 "첨단산업 못지않게 벤처·기술기업을 위한 지원책도 필요하다"는 제언이 이어졌다.
이세돌 전 바둑기사는 "절박함을 갖고 글로벌 시장에 도전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신동식 한국해사기술 회장은 "강력한 미래비전과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국민성장펀드는 금융의 근본적 구조를 바꾸는 계기"라며 "실물경제와 금융이 동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첨단전략산업기금은 오는 12월 초 출범할 예정이며, 관계부처 협업을 통해 메가프로젝트 발굴·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관련기사
- 국민성장펀드 '100조→150조' 확대…李대통령, 오늘 국민보고대회
- 구윤철 "추격경제 유효하지 않아…초혁신경제 전환 필수"
- 금융위, 벤처 업계 간담회 개최…"양적 지원→질적 혁신"
- 李정부 경제정책 청사진…'AI대전환·초혁신경제' 30대 프로젝트 추진
- 개헌부터 코스피 5000까지…이재명 정부 '5개년 계획' 공개
- 은행권 흔드는 규제 태풍…주주환원 제동 걸리나
- 이재명 "고신용자 대출금리 높여 저신용자 부담 낮춰야"…이준석·한동훈 "시장원리 역행"
- 李대통령 "국민성장펀드 150조로 확대…벤처 생태계 활성화해야"
- 기보-기업銀, AI·방산 중소기업 육성에 4000억 투입
- 박상진 산업은행 회장 취임…"첨단산업 지원·산업구조 재편 앞장"
- "150조 국민성장펀드 가동"…금융위, 생산적 금융 대전환 착수
- 금융위, 은행장 간담회…"3대 금융 전환 '함께' 추진"
- 산은 퇴직자의 출자회사行, 반복되는 회전문 인사 관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