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15 11:15
첫 내부 출신 회장, 노조와 공식 간담회…본점 이전 철폐 등 현안 논의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박상진 한국산업은행 신임 회장이 공식 임기를 시작했다. 첨단전략산업 지원과 산업구조 재편을 강조하며, 내부 출신 회장으로서 직원과의 소통 강화에도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 회장은 15일 여의도 본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이 같이 말했다.
박 회장은 취임사를 통해 "실물경제를 뒷받침하고 미래성장산업을 육성하는 정책수단으로 금융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산업은행의 모든 역량을 ▲첨단전략산업 지원을 통한 생산적 금융 전환 ▲중소·벤처기업 육성과 지방산업 체질 개선 ▲전통산업 생산성 제고와 산업구조 재편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임직원들에게 주인의식·청렴의식·소통을 당부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당당히 경쟁하는 'K-Development Bank'로 도약하자고 독려했다. 취임사와 별도로 직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는 본점 이전 논의 과정에서 발생한 상처를 언급하며 "직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열린 마음으로 소통하겠다"고 약속했다.

노동조합과의 관계 설정도 첫날부터 주목을 받았다. 산은 노조는 취임식 당일 성명을 내고 "첫 내부 출신 회장은 소통과 혁신으로 증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합은 앞서 박 회장 내정 직후 면담을 갖고 부산 이전 철폐 등 요구안을 전달했으며, 이후 실무 협상을 통해 상당수 현안에서 공감대를 이뤘다.
박 회장은 ▲본점 이전 반대 표명 ▲이전공공기관 해제 추진 ▲장기재직휴가 ▲배우자 임신검진 동행휴가 ▲진단서 없는 병가 등 휴가제도 개선 ▲선택적 근로시간제·재택근무 확대 등 유연근무제 강화에도 긍정적 뜻을 내비쳤다. 구체적 실행은 올해 노사협의회를 통해 논의될 예정이다.
다만 노조는 "부행장 선임 시 직원 평가 반영이나 노동이사제 도입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어 "내부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무조건 신뢰하지 않는다"며 "직원 목소리를 우선 반영하고 조직을 지키는 데 소신 있게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회장은 "30년 동안 산업은행과 함께해 온 사람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임직원과 힘을 모아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산업은행 첫 내부출신 회장…박상진 前 준법감시인 내정
- 李 대통령 "본사는 반드시 부산으로"…HMM 혼란, 당분간 불가피
- 김용태 "산은은 안되고 동남투자은행은 되나?…이재명, 부산 염원 내팽개쳐"
- 장동혁 "부산, 수도권 일극체제 극복할 새 중심축으로 만들 것"
- 정부, 150조 국민성장펀드 조성…생산적 금융 대전환 본격화
- 국민성장펀드 '100조→150조' 확대…李대통령, 오늘 국민보고대회
-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 이임…"AI·첨단산업 지원 지속해야"
- 산은 퇴직자의 출자회사行, 반복되는 회전문 인사 관행
- 국책은행장 '내부 출신' 바람…기업은행만 '외풍'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