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27 11:01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의 전산실 화재사고는 배터리 발화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했다. 국정자원의 무정전 전원장치 배터리를 지하로 이전하기 위한 작업을 벌이다가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1개에서 불이 붙어 순식간에 확산됐다는 것이다. 이번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가동이 전면 중단됐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브리핑을 진행하고 "화재가 발생한 국정자원 제7전산실에서 항온항습 장치가 꺼졌고, 열기로 인해 서버 등 장비가 가열될 것이 우려해 전체 서버 등 전원을 차단했다"며 "현재 항온항습기를 복구하고 있으며, 복구 이후 서버를 재가동할 계획이다. 우체국과 같이 파급효과가 큰 정부서비스 장애부터 신속히 복구하겠다"고 전했다.
국정자원은 대전이 본원이며, 광주·대구센터를 분원으로 두고 있다. 정부 업무서비스 1600개를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을 관리한다. 이번 사고로 가동이 중단된 시스템 647개는 대전 본원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화재사고로 인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강구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차관은 "민원 처리 지연으로 국민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며 "시스템 정상화 이전에 도래하는 세금 납부, 서류 제출은 정상화 이후로 연장하도록 유관기관에 안내하고 협조를 구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국민께서 정부서비스 장애 발생을 미처 알지 못해 당황하시는 일이 없도록, 오늘 오전 8시 재난문자를 발송했다"며 "국민신문고 등 주요 정부서비스 이용이 제한된다는 것과 관공서 방문 전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해주실 것을 안내했다"고 사고 발생 이후 조치에 나섰다고 강조했다.

국정자원 화재는 이날 오전 6시30분께 약 10시간 만에 진압됐다. 전날 오후 8시20분께 5층 전산실에서 리튬배터리가 폭발하면서 발생했으며, 소방당국은 오전 6시 30분께 큰 불길을 잡았고, 현재는 연기를 빼내는 등 후속 작업이 한창이다.
김 차관은 "다소 불편하시더라도 민원이나 서비스를 신청하실 경우 해당 기관의 안내에 따라 대체사이트에 접속하시거나 오프라인 창구를 활용해주시길 부탁드린다"며 "구체적인 정부서비스 장애 상황과 대체사이트는 네이버 공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음을 참고로 말씀드린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이번 장애로 인해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큰 불편을 겪으신 데 대해 거듭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장애를 신속히 복구하고, 상황이 안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金 총리 "국정자원 화재로 국민 불편함 없어야…전산망 백업체계 점검"
- 공무원 '업무대란' 위기…119 신고 위치추적도 멈췄다
- 정청래 "국정자원 화재 당 차원 대책 마련"…나경원 "행안부 장관 경질하라"
- 김병기 "국민의힘 국가 재난에 부끄럽지 않나…필리버스터 중단해야"
- 국정자원 화재 22시간 만에 완진…2014년 설치 '노후 배터리' 드러나
- 국정자원 화재에 금융당국 비상회의…전 금융사 '대응센터' 가동 요청
- 중대본 "항온항습기 복구…피해 없는 551개 서비스 순차 재가동"
- 李대통령 "국정자원 화재, 신속 복구로 국민 불편 최소화해야"
- 119 긴급 신고·출동 '정상 가동'…영상·웹사이트 신고는 '복구 중'
- 4대 금융지주, 국정자원 화재 전사적 대응…"대체인증·보안체계 강화"
- 여야, 국정자원 화재 현장점검…전·현 정부로 갈라져 책임 공방
- 李대통령 "국정 최고책임자로서 송구…밤새워서라도 복원"
- 성일종 "국정자원 화재, 국가안보 테러로 규정해 철저 수사 필요"
- 한동수 교수 "국정자원 화재, 침착한 원인 분석·현장 목소리 청취할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