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28 15:26
민주당 "전 정부, 공공기관 관리 부실" 지적…국민의힘 "현 정부 대응 능력 부족" 비판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 현장을 찾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이 서버 관리 부실에는 공감했지만, 책임 소재를 두고는 전·현 정부를 겨냥하며 서로 다른 목소리를 냈다.
행안위 소속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의원들은 28일 국정자원을 방문해 화재 현장을 점검한 뒤 별도의 브리핑을 열고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의원들은 서버와 배터리가 같은 공간에 설치돼 간격도 지나치게 가까워 화재에 취약했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했다.
신정훈 위원장(민주당)은 "국민들께 불편을 끼쳐 송구하다"며 "현장 점검 결과 리튬이온 배터리 설치·해체 과정에서 매뉴얼과 관리 규정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았던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권칠승 민주당 의원은 2022년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를 언급하며 전 정부 책임론을 제기했다. 그는 "판교 화재 이후 서버·배터리 이중화와 재난복구(DR) 시스템 구축을 민간에는 의무화했지만 공공기관은 제외했다"며 "그 결과가 이번 사태로 이어졌다"고 꼬집었다.
이어 "행안부가 실질적 대책 마련을 못 하도록 했다는 말도 있고, 소방청이 화재 위험물 시설 지정을 요구했으나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반면 국민의힘 의원들은 현 정부의 위기 대응 미흡을 문제 삼았다.
서범수 의원은 "대한민국이 자랑하던 전자정부가 이 지경이 된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라며 "서버와 배터리가 같은 공간에 있고 이중화와 DR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은 것이 화재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부가 위기 대응 능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피해 현황과 복구 일정, 서비스 중단 내용을 국민에게 명확히 알리지 않고 있다"며 "국민 불편을 방치하는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 4대 금융지주, 국정자원 화재 전사적 대응…"대체인증·보안체계 강화"
- 119 긴급 신고·출동 '정상 가동'…영상·웹사이트 신고는 '복구 중'
- 李대통령 "국정자원 화재, 신속 복구로 국민 불편 최소화해야"
- 국정자원 화재에 금융당국 비상회의…전 금융사 '대응센터' 가동 요청
- 국정자원 화재 22시간 만에 완진…2014년 설치 '노후 배터리' 드러나
- 김병기 "국민의힘 국가 재난에 부끄럽지 않나…필리버스터 중단해야"
- 정청래 "국정자원 화재 당 차원 대책 마련"…나경원 "행안부 장관 경질하라"
- 공무원 '업무대란' 위기…119 신고 위치추적도 멈췄다
- 金 총리 "국정자원 화재로 국민 불편함 없어야…전산망 백업체계 점검"
- 정부 "국정자원 화재는 전원장치 배터리에서…업무시스템 647개 중단"
- '초유의 전산망 마비'…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10시간 만에 '진화'
- 국정자원 화재에 정부 서비스 중단 사태…무색해진 '이중화 조치'
- 대전 국정자원 화재…모바일신분증 등 70개 정부 서비스 '올스톱'
- 李대통령 "국정 최고책임자로서 송구…밤새워서라도 복원"
- 일부 복구에도 상당수 전산망은 '먹통'…월요일 '민원대란' 불가피
- 국힘 "국가 전산망 마비…대통령 직무 유기의 끝장판"
- 국민의힘 "배당소득 분리과세 전면 시행…최고세율 25%로 인하해야"
- 성일종 "국정자원 화재, 국가안보 테러로 규정해 철저 수사 필요"
- 한동수 교수 "국정자원 화재, 침착한 원인 분석·현장 목소리 청취할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