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27 11:29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는 27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주요 국가정보시스템이 순식간에 마비된 것과 관련해 관련 부처에 신속한 복구와 대체서비스를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날 김 총리는 정부서울청사 재난상황실에서 '국정자원 화재 관련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불확실성을 줄여나가 국민 불편을 줄이겠다"며 각 부처의 후속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부처 내부 전산망이 마비됐고, 현재 각 부처 홈페이지 접속도 원활하지 않다"며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위기상황대응본부가 설치돼 화재진압을 완전히 마무리하고 이후 복구 계획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국가정보시스템 장애로 민원처리가 지연되거나 증명서 발급 차질을 빚는 등 일상생활에 불편이 있어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제일 먼저 신속한 복구에 힘쓸 것이고, 각 부처 장관이 상황을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것 같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국민 일상에 큰 지장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결거하며 복구작업의 우선순위를 강조했다. 전 부처에 복구 지연을 가정해 대체서비스를 마련하면서 대국민 소통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고 부연했다.
그는 "모바일 신분증이 작동이 안 된다면 오늘 당장 공항에서 모바일 신분증만 사용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가는 분들이 불편을 겪을 수 있기에 미리 공지가 돼야 한다"며 "명절 택배가 진행되는 시기여서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해 진행되는 부분도 공지가 필요하다"고 관련 부처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우선 긴급한 대처를 하면서 이번 사고의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을 정리해가야 한다"며 "화재 발생 경위나 대응 과정, 앞으로 이런 상황이 생겼을 때 전산망에 대한 백업 체계라든가 비상대책 매뉴얼이 과연 잘 작동했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재발 방지에 역량을 모을 것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행안부 장관을 중심으로 우려하는 문제에 대해 각 부처가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 못할 수 있다“며 ”더 긴장감 있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공유하고, 제도적 개선책도 보완을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행안부를 비롯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보훈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법제처, 소방청, 조달청, 국민권익위원회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행안부가 중심이 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면서 정부시스템이 정상 가동될 때까지 현 위기대응체계를 유지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 정부 "국정자원 화재는 전원장치 배터리에서…업무시스템 647개 중단"
- 네이버, 정부 전산망 대체…민간 플랫폼 '역할론' 커지나
- '초유의 전산망 마비'…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10시간 만에 '진화'
- 국정자원 화재에 정부 서비스 중단 사태…무색해진 '이중화 조치'
- 대전 국정자원 화재…모바일신분증 등 70개 정부 서비스 '올스톱'
- 공무원 '업무대란' 위기…119 신고 위치추적도 멈췄다
- 정청래 "국정자원 화재 당 차원 대책 마련"…나경원 "행안부 장관 경질하라"
- 김병기 "국민의힘 국가 재난에 부끄럽지 않나…필리버스터 중단해야"
- 국정자원 화재 22시간 만에 완진…2014년 설치 '노후 배터리' 드러나
- 국정자원 화재에 금융당국 비상회의…전 금융사 '대응센터' 가동 요청
- 중대본 "항온항습기 복구…피해 없는 551개 서비스 순차 재가동"
- 李대통령 "국정자원 화재, 신속 복구로 국민 불편 최소화해야"
- 119 긴급 신고·출동 '정상 가동'…영상·웹사이트 신고는 '복구 중'
- 4대 금융지주, 국정자원 화재 전사적 대응…"대체인증·보안체계 강화"
- 여야, 국정자원 화재 현장점검…전·현 정부로 갈라져 책임 공방
- 李대통령 "국정 최고책임자로서 송구…밤새워서라도 복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