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10.24 06:00
기업·가계대출 모두 오름세…금감원 "연체·부실 확대 가능성 대비"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8월 말 기준 0.61%로 전월보다 0.04%포인트 상승했다. 신규연체 발생이 연체채권 정리 규모를 웃돌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2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8월 말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61%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말 0.57%보다 0.04%포인트, 전년 동월 말 0.53%보다 0.08%포인트 각각 높아진 수치다.
8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9000억원으로 전월(2조8000억원)보다 1000억원 늘었고,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8000억원으로 전월(1조6000억원)보다 2000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신규연체 발생 규모가 정리 규모를 웃돌면서 전체 연체율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규연체율은 0.12%로 전월(0.11%)보다 0.01%포인트 상승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73%로 전월 말(0.67%)보다 0.06%포인트 높아졌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5%로 0.01%포인트,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9%로 0.07%포인트 상승했다. 중소기업 중에서는 중소법인이 0.97%, 개인사업자가 0.78%로 각각 전월 대비 0.07%포인트, 0.06%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5%로 전월 말(0.43%)보다 0.02%포인트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0%로 0.01%포인트, 신용대출 등 비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92%로 0.06%포인트 각각 올랐다.
금감원은 "8월 연체율은 연체채권 정리 규모가 늘었음에도 신규연체 발생이 이를 상회하면서 상승했다"며 "내수 부진이 이어지고 대내외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아 연체와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신규연체 발생액 대비 정리 규모가 적고 취약부문 대출 비중이 높은 은행을 중심으로 부실채권 상매각과 충당금 확충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