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11.17 14:00
첨단전략산업 금융지원 위해 인력·정보 교류
이억원 "관행 벗어날 때…정부 면책·출자 개선"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정부가 국민성장펀드 출범을 앞두고 금융권과의 협력체계를 강화하며 생산적 금융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17일 금융위원회는 한국산업은행 별관에서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현판식 및 업무협약식'을 열었다.
행사에는 이억원 금융위원장을 비롯해 박상진 산업은행 회장, KB·신한·하나·우리·농협금융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지난 9월 150조원 규모로 출범하기로 한 국민성장펀드의 성공적 조성과 집행을 위해 마련됐다.
이 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생산적금융 대전환을 제시한 이후 금융권도 정책 방향에 화답하고 있으나, 시장의 평가는 냉정하다"며 "여전히 이자 장사 중심이라는 비판이 존재하는 만큼, 산업 이해 기반의 전략적 재원배분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글로벌 패권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금융권·산업계·지역·국민의 역량을 총동원해야 한다"며 "국민성장펀드는 정부·기업·국민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구심점"이라고 강조했다.
또 "국민성장펀드는 규모뿐 아니라 지원 방식과 협업체계 모두 기존 산업금융이 가보지 않은 새로운 길"이라며 "정부도 출자부담 개선, 투자 실패에 대한 면책 지원 등을 통해 적극적인 의사결정을 돕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현재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신설과 함께 투명·전문적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기금운용심의회 추천 절차와 산업계·금융권 의견을 반영할 소통체계도 구축 중이다. 12월 10일 산업은행법 개정에 따른 펀드 출범 일정에 맞춰 신속한 투자 집행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사무국은 ▲프로젝트 접수·예비검토 ▲산업은행 및 금융기관 공동지원 조율 ▲자금 집행·사후관리 ▲민간금융권과의 인력 교류 등을 맡는다. 산업은행은 사무국과 기존 투자 조직을 '국가산업성장지원그룹'으로 통합해 전략적 자금지원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 美 자동차관세 15%…정부, 내년 자동차 업계에 15조 금융지원
- 금융硏 "내년 은행산업, 수익성 둔화…생산적 금융은 양날의 칼"
- 금융硏 "내년 실질GDP 2.1% 전망…내수 완만한 회복, 수출은 제약"
- KB금융, 110조원 '미래 성장 드라이브'…전략산업·포용금융 확대
- 신한금융, 2030년까지 110조 투입…"초혁신경제·민생회복 쌍축 지원"
- 이억원 "금융이 산업 키워야"…현실은 RWA 개편 없인 '돈길' 안 바껴
- 수도권 자금 쏠림 깨는 금융위…'지방우대 금융'으로 120조 푼다
- 이억원 "부동산서 '산업'으로…금융 역할, 성장동력 지원에 맞출 것"
- 하나금융, '모두 성장 프로젝트' 100조 투입…"생산적 금융 대전환"
- 우리금융, 5년간 80조원 투입…"생산적·포용금융으로 경제 회복 견인"
- "150조 국민성장펀드 가동"…금융위, 생산적 금융 대전환 착수
- 이억원 금융위원장, 금융지주 회장 간담회…'금융 대전환' 논의
- 이억원 금융위원장 취임…"금융 대전환으로 경제혁신 뒷받침"
- 李대통령 "국민성장펀드 150조로 확대…벤처 생태계 활성화해야"
- 국민성장펀드 법적 기반 마련…산은법 시행령 국무회의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