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백종훈 기자
  • 입력 2024.04.08 14:00

보험연구원 '보험산업의 AI 활용과 과제' 리포트 발간

보험연구원. (사진=백종훈 기자)
보험연구원. (사진=백종훈 기자)

[뉴스웍스=백종훈 기자]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수동적인 대응보다는 AI활용에 따른 소비자 피해 방지를 위해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보험연구원은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이 최근 고조되고 있는 환경에서 '전자금융업 개편과 보험회사 대응 방안' CEO 리포트를 내놨다고 8일 밝혔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생성형 AI는 고도화된 AI의 한 형태로 데이터 학습을 기반으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콘텐츠를 인간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형태로 생성한다는 점에서 기존 AI와 차별화된 기술과 가치를 제공한다.

생성형 AI를 통해 ▲업무 생산성 향상 ▲리스크 및 시장 분석모델 고도화 ▲소비자 경험 제고 등의 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글로벌 보험사들은 생성형 AI를 업무지원·고객관리·보험금 청구 및 지급 등에 우선 적용 중이다.

반면 국내의 경우 생성형 AI의 활용도는 초기 단계 수준이다.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 및 간편 심사 등을 중심으로 기존의 머신러닝 기반 AI를 활용하고 있을 뿐이다.

다만 이와 같은 생성형 AI의 등장은 할루시네이션(환각), 오정보의 생성·확산으로 피해가 확대될 수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설명 가능성, 신뢰성, 편향성, 개인정보, 사이버 리스크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보험연구원 관계자는 "국내·외 보험시장은 아직 본격적으로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점차 활용 범위를 넓히려 시도 중"이라며 "보험산업은 관련 시장의 성장에 주목하고 선제적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때문에 보험산업은 향후 AI 관련 규제변화에 수동적으로 대응하기보다 AI 활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 피해 방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비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며 "급변하는 AI 환경 속에서 보험산업이 본연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AI와 관련한 균형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