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12.06 22:16
6일 오전 1429원 '껑충'…하방 1410원대 굳어져
盧·朴 사례 볼 때 경제 미치는 영향 크지 않아
금융당국 "새 쇼크 없으면 천천히 다시 하락할 것"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돌발 비상계엄 사태에 정치적 불확실성이 최고조에 달하면서 원·달러환율이 다시 치솟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표결이 급물살을 타며 시장에서는 환율 추가 상승에 대한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0.9원 상승한 1416.0원에 개장해 1415~1416원대를 등락하다 이날 야당이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찬성할 가능성이 제기되자 오전 11시 30분경 1429.2원까지 치솟았다.
원·달러 환율이 1429원대까지 오른건 장중 고가 기준으로 지난 2022년 11월 이후 약 2년 만이다. 다만 금융당국의 개입 등으로 현재는 다시 1410원대 후반에서 다소 안정을 찾았다.
앞서 원·달러환율은 이날 야간 거래에서 전날 주간거래 종가 대비 7.2원 오른 1417.3원에 거래를 마쳤다. 야간거래에서도 1410원 후반대를 횡보하다 1420원 가까이 오르기도 했다. 이는 탄핵 정국에 대한 정치적 불확실성에 원화를 피하려는 심리가 짙어진 영향이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3일 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령을 선포하자, 1442원까지 급등했다. 국회가 계엄 해제를 요구하며 6시간 만에 계엄은 풀렸지만, 이번 사태가 탄핵 정국으로 이어지면서 1410원대에서 하방이 굳어진 모습이다.
현재 환율은 미국 11월 고용지표 발표를 앞두고 경계감도 드러내고 있다. 오는 17~18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결정에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윤 대통령의 탄핵안 표결은 속도를 내고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이른바 '폭탄 발언'을 통해 탄핵 찬성으로 입장을 선회한 까닭이다.
이날 한 대표는 긴급회의를 통해 "이번 탄핵에 대해 통과되지 않게 노력하겠다고 했지만, 최근에 드러난 사실을 감안할 때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전날 본회의에 보고된 윤 대통령의 탄핵안은 이미 표결이 가능한 상태다.
만약 이 표결에서 국회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인 200명이 찬성하면, 윤 대통령의 직무는 즉시 정지되고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을 받게 된다.
외환 시장에서는 탄핵 정국이 긴박하게 돌아가자, 환율 불안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역사적으로 보면 탄핵 이슈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이었다.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사건 당시 원·달러 환율은 1190원 수준에 머무르다 국회에서 탄핵안이 통과되자 1210원까지 올랐다. 그러나 헌법재판소가 국회의 결정을 기각하자 다시 1190원 수준으로 되돌아왔다.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표결 당시에도 마찬가지였다. 탄핵소추안 가결 전 1160원 수준이던 원·달러 환율은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자 1190원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이듬해 헌재의 대통령직 파면 결정이 내려지자 다시 하락하며 안정세를 찾았다.
노 전 대통령과 박 전 대통령의 사례를 볼 때 탄핵안 가결이나 부결 여부와는 관계없이 향후 환율의 추가적인 상승은 제한적일 것이란 예측이 가능한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탄핵보다 계엄령이 훨씬 큰 쇼크인 것이 사실"이라며 "과거 노 전 대통령과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정국과 비교해 보면 장기적으로 볼 때 주식시장이나 환율 등 경제에 미치는 충격은 제한적이었다"고 분석했다.
이날 이복현 금융감독원도 이번 사태와 관련해 "우리 경제·금융에 대한 불안감이 잔존하고 있으나, 과거 유사한 정치 상황에서도 시장 영향은 제한적이었다”며 "시장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탄핵 정국이 본격화되더라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계엄 사태가 당연히 부정적 뉴스이기 때문에 환율이 1410원대로 약간 오른 상태지만, 이후 새 쇼크가 없다면 천천히 다시 내려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