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5.26 06:00

[뉴스웍스=손일영 기자] 경기 침체가 길어지며 보험사 대출의 부실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은 26일 '2025년 3월 말 보험사 대출 채권 현황' 발표를 통해 보험사 대출채권 연체율과 부실채권비율이 소폭 상승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말 기준 대출 채권 연체율은 0.66%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0.12%포인트, 전 분기 말 대비 0.0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이 중 가계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0.19%p 상승한 0.79%, 기업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0.09%포인트 상승한 0.60%에 이른다. 부실채권비율의 경우 연체율보다 더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부실채권비율이란 고정이하 여신에서 총 여신을 나눈 비율을 뜻한다.
올해 3월 말 기준 보험사 부실채권 비율은 0.91%다. 이는 전 분기 대비 0.27%포인트, 전년 동기 대비 0.1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이 중 기업대출 부실채권 비율은 전 분기 대비 0.39%포인트 상승한 1.07%로 높은 수준이다. 이는 홈플러스의 기업 회생절차로 인해 홈플러스 대출 채권이 전액 고정으로 분류된 것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연체율과 부실채권비율은 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차주의 채무 상환능력이 약화하며 소폭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같은 기간 보험사 대출 채권 잔액은 267조8000억원으로 전 분기말 대비 1조8000억원, 전년 동기 대비 8000억원 감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체율 등 보험사 대출 건전성 지표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것"이라며 "충분한 대손충당금(준비금 포함) 적립을 통한 손실 흡수 능력 제고를 지속적으로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교보생명, 보험금 지급능력 '19년 연속' 최고 등급…건전·수익성 입증
- 손보사 1분기 실적 '흔들'…회계제도 논란에 전망도 '안갯속'
- 보험사 M&A 랠리…고용·건전성 관리 '촉각'
- '경영 경고등' 켜진 기본자본 50% 미만 보험사…자본관리 고심 커져
- 7월부터 대형 금투·보험사 53곳 책무구조도 시범운영
- 고무줄 실적된 보험사 순이익…전년대비 15.8% 뒷걸음질
- 이세훈 수석부원장 "금리 인하기 IFRS17 합리적 공시 강화할 것"
- 보험사 '깜깜이' 실적 논란…"시장 자율 보장 재무정보 허들 낮춰야"
- 금감원, 저신용대출에 보험 끼워팔기…흥국화재 기관주의 '철퇴'
- 가계대출 6조 늘자…금융위 "수도권 주담대 집중 점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