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한익 기자
  • 입력 2025.07.31 13:34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 이재명 대통령. (출처=백악관·이재명 대통령 페이스북)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 이재명 대통령. (출처=백악관·이재명 대통령 페이스북)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주 내에 한미 정상회담을 개최할 전망이다. 이번에 열릴 회담에서는 두 정상은 3500억달러(약 486조원) 규모 투자 펀드의 투자 분야, 이익 배분 등 세부적인 내용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31일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미 관세협상 결과를 발표하면서 "2주 내로 이재명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 정상회담은 이 대통령 취임 이후 두 차례 열릴 기회가 있었지만 무산된 바 있다. 지난 6월 캐나다에서 개최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남이 조율됐지만 중동 무력 충돌로 트럼프 대통령이 조기 귀국하면서 불발됐다. 또 같은달 네덜란드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기간 중 두 정상이 만날 것이란 기대가 있었지만 이 대통령이 불참을 결정하면서 회담이 성사되지 않았다.

다만 구체적인 날짜는 조율 중에 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구체적인 날짜는 곧 이어서 한미 외교 라인을 통해 협의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루비오 국무장관에게 다음 주라도 그 날짜를 잡으라고 그랬다는데 (이 대통령) 일정도 있지 않겠냐"고 했다. 이어 "구체적인 날짜와 방식은 협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3500억달러 펀드의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김 실장은 "우리는 구체성을 가진 펀드로 하려고 했고, 그 과정에서 3500억달러가 나왔다"며 "투자 분야는 정상회담 때 더 논의가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정상 간에 더 논의해서 정상회담이 열리면 한미 간 상호 호혜적인 결과를 낼 수 있는 투자 패키지가 나올 것 같다"고 부연했다.

펀드의 수익 배분과 관련해 시각 차이를 좁히려는 대화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이날 "한국이 미국에 투자한 3500억달러에서 발생한 수익의 90%는 미국이 가져간다"고 밝혔다. 

반면 이에 대해 김 실장은 "돈은 우리가 대고 이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간다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며 "우리의 이익을 해치지 않는 방법으로 펀드가 운영될 수 있도록 우리의 입장을 개진할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본다"고 했다.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인상 등 안보 현안도 다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으로 증액을 요구한 만큼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

김 실장은 '방위비 분담금 인상과 미국산 무기 구입 협상'을 묻는 질문에 "이번 딜은 러트닉 상무장관이 주가 돼서 했다"며 "그래서 통상 분야를 중심으로 이뤄졌고 안보나 이런 문제들은 오늘 함께 발표됐습니다만 한미 정상회담이 있기 때문에, 그쪽에서 논의가 될 것 같다"고 답했다. 

아울러 '한미동맹 현대화' 관련 협의도 이뤄질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우리 정부에 '한미 상호방위조약'을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확대 적용하는 동맹의 현대화를 요구하고 있다. 크리스토퍼 랜다우 미 국무부 부장관은 지난 18일 "한미상호방위조약으로 맺어진 한미동맹을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확대 적용하는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강화하자"고 했다. 

엘브리지 콜비 미 국방부 정책차관도 지난 21일 "한국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동맹국의 집단방위를 강화하기 위해 국방부와 국무부가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집단방위 원칙은 특정 회원국이 무력 공격을 받으면 전체 회원국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해 대응한다는 나토의 핵심 원칙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