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12 16:30
정부·관계기관 협력…2026년 6월 출시 목표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금융위원회가 청년미래적금 상품 출시를 위한 관계기관 태스크포스(TF)를 출범했다.
정부와 관계기관이 협력해 상품 설계와 제도 정비를 차질 없이 추진하고,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두텁게 지원할 방침이다.
금융위는 12일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와 은행연합회, 서민금융진흥원이 참여한 가운데 청년미래적금 TF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는 김진홍 금융소비자국장 주재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상품 설계 기본방향과 추진 일정, 운영 방안을 공유하고 기관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청년미래적금은 청년층의 종잣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금 상품이다. 청년이 3년동안 매월 최대 5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납입액의 6%를 기여금으로 지급한다. 중소기업 신규 취업 청년은 지원율이 12%로 확대된다.
가입대상은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 200% 이하인 만 19세에서 34세 청년과 연매출 3억원 이하 청년 소상공인이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3년 만기 시 약 1900~2000만원대의 자산을 이자와 함께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정부는 청년미래적금에 대해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추진하고, 기존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에게는 청년미래적금으로 갈아탈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기존 청년도약계좌의 긴 만기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번 상품의 만기는 3년으로 설정됐다.
청년미래적금은 올해 국회 예산안 심사와 세법 개정을 거쳐 재원 규모와 세제 혜택이 확정되면, 상품 세부 설계와 전산 시스템 구축, 참여 은행 모집 절차를 밟아 2026년 6월 출시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와 관계기관은 앞으로 TF 회의를 매월 정례화해 상품 구조 보완과 제도 안정성 확보를 논의할 계획이다. 김진홍 금융위 금융소비자국장은 "세대 간 자산격차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청년기의 안정적 자산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청년미래적금은 여러 기관이 긴밀히 협력해야 하는 사업인 만큼 정부와 관계기관이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尹정부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율 16%…"가입 유지 방안 마련 필요"
- [짠富테크] 청년도약계좌 5년 뒤에 5000만원…1년 가입자 133만명
- 청년도약계좌 누적 신청자 189만…희망적금 연계 가입 4월까지
- 연 4.5% 금리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21일 출시
- 하나은행 "청년 자산형성 응원합니다"…청년도약계좌 탑승 이벤트
-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10명 중 3명 중도 해지
- 청년희망적금 만기 청년, 25일부터 '청년도약계좌 연계 가입' 가능
- 청년 자산형성 금융정책…'5년 도약'에서 '3년 미래'로 변경 추진
- 서민금융 지원 개선 시급…"단순한 채무감면 넘어 회복 지향해야"
- 28세부터 '흑자인생'…61세부터 다시 적자 전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