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10.01 15:37
농협카드 인센티브·부실채권 전가 논란 강태영 농협은행장 24일 출석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국정감사에서 금융권의 구조적 차별 문제가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1일 정치권에 따르면 오는 24일 농해수위 국감에는 강태영 농협은행 대표가 증인으로 출석한다. 참고인석에는 임기은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조 협동조합업종본부 실장이 선다.
노조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과정에서 농협은행 직원과 농축협 노동자 간 차별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은행 직원은 취급 건당 2000원의 현금 인센티브(상한 10만원)를 받은 반면, 농축협 노동자는 50건당 사은품 1박스(선착순)만 제공받았다. 카드·보험 사업의 60% 이상을 담당해온 농축협 노동자들이 구조적 차별을 받았다는 것이다.
임 실장은 "이번 사안은 농축협 노동자 전체에 대한 차별이며, 본질은 2012년 중앙회 사업구조 개편 이후 심화된 불공정 지배구조"라며 중앙회장의 사과와 구체적 이행계획 마련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농협 측은 "농협은행 및 NH카드 분사는 관련 사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지만, 노조는 "핵심은 차별 구조 개선인데, 두 달 넘게 개선책 없이 '물품 조기 소진' 공문만 발송했다"며 반발했다.
또 다른 쟁점은 농협은행의 NH카드 부실채권 처리 방식이다. 노조는 "중앙회가 정상 채권을 보유·관리하다가 결제일이 지나 연체가 발생하면 농축협에 관리 책임을 전가한다"고 지적한다.
이들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농축협이 대손충당금을 대신 적립하게 되고, 최종 부실 확정 시에는 농협중앙회 자회사인 농협자산관리회사(NAMCO)에 헐값 매각돼 농축협이 이중 부담을 진다.
임 실장은 "농축협은 수익은 제한적이나 손실과 위험만 떠안는 구조로 자기자본비율 악화 등 총체적 피해가 발생한다"며 약정 갱신 과정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측을 증인과 참고인으로 채택한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서로 주장이 다른 만큼 사실관계 확인 차원에서 증인과 참고인을 부른 것"이라며 "국감에서 적정성을 따져보겠다"고 밝혔다.
한편 오는 15일 농해수위 국감에는 6대 손해보험(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메리츠화재·KB손해보험·한화손해보험) 대표들이 참고인으로 출석한다.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요청한 사안으로, 섬과 벽지 주민들이 자동차보험 가입 과정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노동 차별과 지역 차별이라는 서로 다른 사안이지만, 두 쟁점 모두 금융기관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문제로 수렴된다. 농해수위 국감이 금융권의 차별 구조를 집중 조명하고 제도 개선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 이찬진 금감원장, 상호금융에 '내부통제·부실 정리' 압박
- NH농협금융, 민생쿠폰 프로모션 '인센티브 차별'에 내홍
- 상반기 자동차보험 손해율 83.3% '적자 위기'…보험손익 90.9% '급감'
- "불황에 정신없는데"…연휴 직후 국감 기업인 최다 출석하나
- 강태영 농협은행장, 추석 연휴 앞두고 사이버 보안 총력 점검
- [취재노트] 연휴 끝 국감 돌입…민생 좀 챙기자
- 국힘 "김현지 실세 위 실세" vs 민주 "최순실 프레임 뒤집기"…국감 앞두고 정면충돌
- 국감 도마 오른 '풍수해보험 폭리' 논란…'혈세 490억' 누수 우려
- 섬 주민 車 긴급출동서비스 약관 개선 추진…보험사 CEO, 국감 소환 철회
- 농협 국감, 공공성 시험대…내부통제·노동격차·금품 의혹 부각
- 국감서 드러난 농협 내부 인센티브 격차…"불공정 구조 개선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