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희진 기자
  • 입력 2025.10.23 10:28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 (출처=강 의원 SNS)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 (출처=강 의원 SNS)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캐피탈사가 지난 6년 동안 고금리 대부업체에 38조원이 넘는 자금을 빌려주며 2조5000억원 이상의 이자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서민대출 규제 강화로 저신용층이 대부업으로 내몰리는 가운데, 제도권 금융이 오히려 대부업체 자금조달 창구로 기능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금융업권 대부업체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은행·저축은행·캐피탈업권의 대부업체 대출 규모는 총 38조2000억원,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는 8265곳에 달했다.

대출금액은 2020년 5조8000억원 수준에서 올해 7조원대로 늘며, 2023년을 기점으로 다시 증가세를 보였다. 업권별로는 캐피탈업권이 전체의 60% 가까운 22조8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저축은행(12조5000억원), 은행(약 2조8000억원)이 뒤를 이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JB우리캐피탈(7조5000억원), 웰컴저축은행(2조4000억원), 우리은행(3조9000억원)이 업권별 최대 대출 규모를 기록했다. 특히 캐피탈업권은 대출 건수의 절반 이상(1만5000건)을 차지하며 대부업체 자금 공급의 중심 역할을 했다.

대부업체 대상 대출 금리는 평균 5~7% 수준으로, 일부 캐피탈·저축은행에서는 최고 20%대 금리로 돈이 흘러간 사례도 있었다. 은행권 중에서는 토스뱅크가 평균 7.0%, 최고 11.9%, 저축은행 중에서는 예가람저축은행(최고 18.3%), 캐피탈사 중에서는 HB캐피탈(최고 20%)이 각각 가장 높은 금리를 적용했다.

올해 8월 기준 업권별 대부업체 대출현황. (자료제공=강민국 의원실)

이처럼 대부업체에 대한 자금 공급이 늘면서 제도권 금융의 이자수익도 급증했다. 2020년 3300억원대였던 연간 이자수익은 지난해 5300억원을 넘어섰고, 올해(8월 기준)만 해도 이미 3700억원에 달한다. 6년 누적 이자수익은 총 2조5400억원으로, 이 중 캐피탈업권이 1조5000억원(전체의 60%)으로 가장 많았다.

금융감독원은 이에 대해 "대부업체는 금융기관 이용이 어려운 취약계층의 대출 수요를 일부 담당하고 있어, 제도권 자금 조달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정치권은 제도권의 '이중 행태'를 강하게 비판했다.

강민국 의원은 "가계대출 규제가 강화되며 서민이 제도권 밖으로 밀려나는 현실 속에서, 은행과 저축은행 등이 대부업체에 '종잣돈'을 공급해 이자 장사를 하고 있다"며 "이는 금융회사의 공공적 책임을 저버리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대부업체가 금융권 자금을 통해 가계대출 규제를 우회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적극적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