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11.07 14:28

[뉴스웍스=정현준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국내 자동차 및 철강업계가 보호주의 강화에 따른 여파를 우려하고 있다. 특히 관세인상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정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강력한 보호무역 정책을 내세우며 수입산 차량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를 주장하는 입장이다. 특히 IRA의 전기차 보조금이 축소 또는 폐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는 친환경차 육성을 강조했던 바이든 행정부와 정반대 기조다.
트럼프의 주요 자동차 관련 공약은 ▲보편적 무역 관세 적용 ▲완성차·부품 생산시설 자국 이전(온쇼어링) ▲IRA의 전기차 세액공제 축소 또는 폐지 ▲내연기관차 탄소 배출량 감축 정책 폐지 등이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트럼프 재집권 시 높은 관세 인상과 IRA 축소로 미국 시장용 수출 비중이 높은 자동차 산업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는 IRA 보조금을 기대하며 미국 현지 생산 시설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는데, 보조금 축소 시 투자금 회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이번 대선 유세에서 "관세는 사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라며 "관세로 인해 제조업이 미국으로 회귀할 것"이라고 발언해 관세 폭탄을 예고한 바 있다.
주요 내용은 모든 수입품에 보편적 기본 관세 10%~20%를, 중국산 제품에는 60%까지 부과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또한 멕시코에서 수입된 차량에 20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해, 기아의 멕시코 공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최근 중국 자동차 업계가 미국의 관세를 피하고자 멕시코 투자를 계획하면서 기아의 멕시코 공장도 관세 인상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트럼프가 2026년 7월 예정된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를 수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멕시코 국경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다면 멕시코에도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트럼프가 대선 승리 시 기아 멕시코 공장의 미국 자동차 수출에 차질을 우려해 이에 대한 리스크를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대차그룹은 앨라배마 현대차 공장(연산 36만대), 조지아 기아 공장(연산 34만대) 외에도 최근 미국 조지아주에 연산 30만대 규모의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완공해 지난 10월부터 가동 중이다. 이는 미국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에 대한 대당 보조금 7500달러(약 1048만원)를 지원받는 IRA 보조금 혜택을 활용하기 위한 전략이었으나, 트럼프의 당선으로 보조금 축소 시 미국 내 전기차 판매에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트럼프가 재집권하면서 전기차 시장 위축이 현실화할 경우, 기존 전기차 공장을 하이브리드 차량 생산 등으로 전환하는 등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앞서 지난 7월 말 현대차그룹은 HMGMA에서 전기차와 함께 하이브리드 차량도 생산할 수 있도록 주정부에 시설 허가 변경을 신청했다.
철강업계도 높은 관세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철강 산업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영향력을 많이 산업으로, 트럼프는 중국산 철강에 60% 이상의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고,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2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집권 당시 2018년 3월 국가안보 위협을 이유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수입 철강재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당시 우리나라는 관세를 면제받은 대신 쿼터제가 적용됐다. 이에 따라 2015~2017년 기간 연평균 수출량의 70% 수준인 268만톤까지 철강재 수출이 가능한 상태다.
다만, 업계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향후 232조의 재산정을 통해 쿼터 부과국에 대한 수입 쿼터를 축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보호무역 강화로 철강 산업의 대미 수출 환경이 변화할 수 있다"며 "이에 따른 원가 상승과 높아진 원료 공급망 재편 압력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 [트럼프 2.0] "공화당 승리에도 IRA 폐지 가능성 낮아"…테슬라·LG엔솔 '수혜'
- [트럼프 2.0] '햄버거 대화' 재개할까…북미 관계 새 전환점 맞아
- [트럼프 2.0] 트럼프와 '말' 통하는 韓 정치인은?
- [트럼프 2.0] '한미 동맹' 불확실성 증폭…방위비 분담금에 주한미군도 '변수
- [트럼프 2.0] 화석연료·원전 확대…에너지 정책 대전환 시작되나
- [트럼프 2.0] 가상화폐 대통령의 귀환...비트코인, 당분간 고공행진 지속
- [트럼프 2.0] 도널드 트럼프는 누구…상류층 출신의 '트러블메이커'
- [트럼프 2.0] 전방위적 보호무역 재개…'킹달러' 시대 도래
- [트럼프 2.0] 대선 직후 연준 금리 논의…예정대로 '0.25%p↓' 유력
- [트럼프 2.0] 돌아온 트럼프…韓 재계 대표 인맥 '누구'
- [트럼프 2.0] 돌아온 트럼프…'美 우선주의' 파상 공세 예고
- [트럼프 2.0] 美·中 무역전쟁, '60% 관세폭탄' 임박…머스크 중재 변수될까
- [트럼프 2.0] 올해 수출은 OK…내년은 괜찮을까
- [트럼프 2.0] 해리스 지지한 메타·아마존 '화들짝'…출구전략 찾기 '부산'
- [트럼프 2.0] 폐지 대신 美혜택 몰아주기?…K반도체·배터리, IRA·칩스법에 떤다
- [트럼프 2.0] 러우·중동 갈등에도 '美 우선주의'…영토 떼어주기 먹힐까
- IRA 폐지 가능성에…현대차그룹, 관세 대응 美 제철소 건설 검토
- 美 IRA 세액공제 조기폐지 추진에 '촉각'…누가 웃고, 누가 울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