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한익 기자
  • 입력 2025.06.11 16:29
대북방송을 즉각 시행하는 상황에 대비해 전방지역에서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제공=합동참모본부)
대북방송을 즉각 시행하는 상황에 대비해 전방지역에서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제공=합동참모본부)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우리 군이 11일 대북확성기 방송을 재개 1년여 만에 전면 중단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약속한 남북관계 복원과 한반도 긴장 완화 차원에서 이같이 결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대북확성기 방송 중단과 관련해 "11일 오후에 전 전선에서 중지했다"며 "남북관계 신뢰회복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국민 공약을 이행하는 차원"이라고 밝혔다.

합참은 지난 9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대북확성기 방송은 전략적·작전적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실시하고 있다"며 "안보 상황을 고려해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라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6월 9일 북한의 지속적인 오물풍선 살포에 대응해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고 대북확성기 방송 재개를 결정했다. 대북방송 재개는 2018년 이후 6년여 만이었다.

군의 대북확성기 중단 결정은 이 대통령의 한반도 긴장 완화 공약 이행 차원에서 실행됐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공약집에서 '포괄적·단계적 비핵화로 평화체제를 향한 실질적 진전을 이루겠다'고 선언했다. 우선 북한의 핵 능력 강화를 차단하고, 핵 능력을 감축하며, 궁극적으로 그 위협을 완전히 해소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북핵 문제를 '코리아 리스크 해소'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한미협의와 한반도 긴장 완화로 북핵 대화 여건을 조성하고, 북미협상 촉진에 나설 계획이다.

대북 관계 대선과 관련해 이 대통령은 대선 유세기간에도 "긴장 완화와 비핵평화로 공존하는 한반도를 추구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그는 "한반도 평화와 북핵 문제 해결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 동맹 미국과 긴밀하게 공조하고, 국제사회와도 중층적인 협력의 틀을 추구해 나가겠다"며 "군사 핫라인 등 남북 소통채널 복원을 추진해, 긴장 유발 행위를 상호 중단하고,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 대통령은 당시 "국민이 공감하는 호혜적 남북대화와 교류협력을 추진하겠다"며 "이산가족, 납북자, 국군포로, 북한이탈주민 등 분단의 고통을 겪는 우리 국민을 위한 인도적 지원과 제도 개선에도 힘을 쏟겠다"고도 약속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