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진형 기자
  • 입력 2025.08.14 15:29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취임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취임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제16대 금감원장으로 이찬진 원장이 14일 취임했다.

이 원장은 취임 일성으로 '모방·추격에서 창의·선도로'를 기치로 내걸며 금융 대전환을 선포했다.

취임사에는 방향과 과제가 구체적으로 담겼지만, 동시에 '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을 반영한 인사'라는 정치적 해석이 덧씌워지고 있다.

이 원장은 과거 이재명 대통령과 시민사회, 법조계 네트워크를 통해 교류해온 인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이 검증한 정책 추진력과 소통 능력이 이번 발탁 배경이라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청와대와 금감원 간의 협업 속도가 빨라질 것이란 기대와 함께 정치권 입김이 감독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동시에 존재한다.

실제 이 원장의 취임사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금융정책 핵심 키워드가 고스란히 반영됐다.

취임사는 ▲모험자본 공급 확대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 ▲부동산PF 부실 조기정리 ▲가계부채 악순환 차단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로 압축된다. 전임 기조를 계승하되 디지털 자산 제도화, AI 활용 법제화, 중소·벤처기업 상생지수 도입 등 혁신 과제를 전면에 배치했다. 특히 상법 개정안 안착, 주주가치 중심 거버넌스 확립, 주가조작·독점 남용 무관용 원칙 등이 담겼다.

'대주주와 일반주주 모두의 권익이 공평하게 존중받는 질서'라는 발언은 자본시장 감독에 있어 공정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는 신호로 읽힌다.

부동산PF 부실 해소는 정책금융 연계로 우량 사업장은 살리고 여신심사·시행사 요건 강화로 재발을 막는 양방향 전략을 제시했다. 가계부채 총량 관리 기조를 유지하며 부채를 통한 부동산 가격 상승의 악순환 고리를 끊겠다는 의지도 분명히 했다.

소비자보호처 개편, 감독·검사 기능 활용, 금융범죄에 대한 강력 대응 등 '민생 감독' 의지를 강조했다. 보이스피싱, 가상자산 사기 등 신종 범죄에 대해 수사당국과 공조해 대응하겠다고도 밝혔다.

역대 금감원장 주력 과제.
역대 금감원장 주력 과제.

신임 금감원장에 대한 금융권의 평가는 분분하다.

대통령과의 신뢰 관계는 정책 추진에 속도를 붙이겠지만, 그만큼 정치적 독립성에 대한 시험대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부동산PF, 가계부채, 자본시장 공정성 강화 등 이해관계가 첨예한 과제를 동시에 풀어야 하는 만큼 초반 행보가 리더십 평가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통령실과의 '직통라인'이 독이 될지, 약이 될지 이찬진 금감원장의 첫 6개월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