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희진 기자
  • 입력 2025.10.01 15:59

총파업 현장 참여 저조…시중은행 빠지며 동력 약화
노조는 강행, 소상공인은 반발…현장선 '김 빠진 총파업'

송치영(가운데) 소상공인연합회장이 4.5일제 반대를 외치고 있다. (사진제공=소상공인연합회)
송치영(가운데) 소상공인연합회장이 4.5일제 반대를 외치고 있다. (사진제공=소상공인연합회)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주 4.5일제'를 둘러싸고 금융노조와 소상공인연합회가 정면으로 부딪쳤다. 

1일 소상공인연합회는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주 4.5일제 추진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소상공인연합회는 "70년 넘은 낡은 제도인 주휴수당을 폐지하고,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적용 확대 방침을 철회하지 않는 한, 주 4.5일제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100만 서명운동에 돌입한다고 선언했다.

1일 소상공인연합회 대회의실에서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장이 주 4.5일제 반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소상공인연합회)
1일 소상공인연합회 대회의실에서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장이 주 4.5일제 반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소상공인연합회)

송치영 회장은 "주 4.5일제가 도입되면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업무 공백과 생산성 저하를 소상공인이 떠안게 된다"며 "주휴수당이 유지된다면, 인건비 이중 부담으로 영세 자영업자들이 벼랑 끝으로 몰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두 차례 합헌 결정을 내린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적용 제외 원칙을 정부가 뒤집으려 한다"고 말했다.

유덕현 서울시 소상공인연합회장 역시 "연봉 1억원이 넘는 은행원들이 근로시간 단축과 임금 인상을 동시에 요구하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며 "주 4.5일제는 사실상 주 4일제와 다름 없어 국가 경쟁력을 갉아먹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앞장서 주 4.5일제를 도입하는 은행이 생긴다면 불매운동까지 고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형선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가운데)이 왼손을 불끈 쥐어 보이고 있다. (사진=정희진 기자)
김형선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가운데)이 왼손을 불끈 쥐어 보이고 있다. (사진=정희진 기자)

반면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은 같은 날 성명을 내고 소상공인연합회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주 4.5일제는 단순한 근무시간 단축이 아니라 가족의 시간을 회복하고, 지역을 살리며,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열어주는 길"이라며 "저출생과 지역 소멸 위기 속에서 반드시 필요한 변화"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또 "1989년 주44시간제 도입, 2004년 주5일제 시행 당시에도 '경제가 무너진다'는 반대가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생산성과 고용이 늘었다"며 "이번 투쟁은 단순한 임금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와 직결된 과제"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6일 오전 11시경 총파업에 대거 참석한 아이엠뱅크·경남은행(왼쪽) 조합원들과 달리 국민은행 조합원들의 참석율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사진=정희진 기자)
지난달 26일 오전 11시경 총파업에 대거 참석한 아이엠뱅크·경남은행(왼쪽) 조합원들과 달리 국민은행 조합원들의 참석율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사진=정희진 기자)

다만 이번 총파업은 현장 참여가 저조해 동력 확보에 한계가 있었다는 평가다. 

지난달 26일 총파업 당시 신한은행 노조는 참여 여부를 놓고 투표를 진행했으나 찬성이 50%를 넘지 못해 불참을 선언했다. 국민·우리·하나은행도 실제 참석자는 100명 내외에 불과했고, 대부분 노조 전임자였다. '총파업'이라는 이름이 무색할 만큼 현장의 호응은 제한적이었다.

지금까지 금융노조는 "금노의 우선적 시행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겠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소상공인연합회가 인건비 구조 개선 없는 도입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강경한 태세로 나오면서 주 4.5일제를 둘러싼 사회적 합의 도출까지는 험로가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정부 기조와의 괴리도 지적한다. 이재명 대통령의 잇따른 '이자장사' 비판 속에 은행권의 총파업은 배부른 투쟁으로 비칠 수 있고, 금융당국이 강조하는 '포용 금융' 기조와도 어긋난다는 것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과 정부가 '3대 금융(상생·포용·신뢰 금융) 대전환' 기조 아래 포용 금융을 내세우는 상황에서, 시중은행들이 이를 외면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