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다혜 기자
  • 입력 2024.06.05 17:45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이 5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2차 부동산 PF 연착륙 대책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금융위원회)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이 5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2차 부동산 PF 연착륙 대책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금융위원회)

[뉴스웍스=김다혜 기자] 3월 말 기준 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3.55%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 연체율은 18%를 육박했으며, 저축은행도 10%를 넘어섰다.

금융위원회는 5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 국토교통부, 5대금융지주(국민·신한·NH·하나·우리)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제2차 부동산PF 연착륙 대책 점검회의'를 열었다.

금융권의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3월말 기준 3.55%로 지난해 말 대비 0.85%p 상승했다.

증권사 연체율이 17.57%로 전년말 대비 3.84%p 증가했으며, 다음으로 저축은행 11.26%(4.30%p↑), 여신전문업체 5.27%(0.62%p↑), 상호금융 3.19%(0.07%p↑) 보험 1.18%(0.16%↑) 등으로 나타났다.

대출잔액은 134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조4000억원 줄었다. 은행과 증권이 각각  46조2000억원(1000억원↑), 8조7000억원(9000억원↑)으로 증가했지만 보험 40조7000억원(1조3000억원↓), 여신전문업체 25조4000억원(4000억원↓), 저축은행 9조4000억원(2000억원↓), 상호금융 3조8000억원(5000억원↓)으로 감소했다.

PF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 사업장에 대한 자금공급이 부진한 가운데, 금융권 자체 리스크 관리 강화와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시간이 필요하면서 연체율이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저축은행업권의 경우 대주단 협약시 연체사업장에 대한 무분별한 만기연장·이자유예를 제한하고, 협약이 종료된 사업장에 대한 엄격한 연체기간 산정기준을 제시했으며, 외형확대 방지 등 선제적인 건전성 관리·감독에 나서면서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금융권은 PF 연착륙을 위해 자체 노력을 지속하는 상황이다.

저축은행들은 지난 3월 330억원 규모의 1차 '부실채권 정리펀드'를 전액 집행하고, 4600억원 이상의 2차 펀드 조성을 추진 중이다. 또 캠코에 대한 부실채권 매각 등 다각적인 매각을 통한 연체채권 관리도 추진한다.

여신전문업권은 1600억원 수준의 1차 'PF정상화지원펀드'를 조성해 6월 중 전액 집행할 예정이며, 2600억원 규모의 2차 펀드도 조성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건전성이 양호한 은행과 보험사가 PF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PF대출의 만기도래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시스템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평가했다. 또 증권과 저축은행도 높은 자본비율과 상당한 충당금을 이미 적립한 만큼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해도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앞으로 건설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사업성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6월 중으로 각 업권별 모범규준과 내규 개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금융회사들은 7월 초까지 사업장별로 사업성 평가를 실시한 후 7월말까지 유의·부실우려 사업장에 대한 사후관리 계획을 제출하며, 8월부터 금감원이 사후관리 진행사항을 점검할 예정이다.

사업성 평가는 순차적으로 이뤄지며, 6월에 연체 또는 만기연장이 많은 사업장부터 평가할 계획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사업성 평가 등 PF 연착륙 세부추진상황과 금융회사 연체율 상황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필요한 사항에 대해 관계기관과 협의해 즉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