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9.12 06:18
다우 0.31%↑·S&P 1.07%↑·나스닥 2.17%↑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뉴욕증시 3대 지수가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하회했음에도 장 중 기술주들의 랠리가 이어지며 일제히 상승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4.75포인트(0.31%) 높아진 4만861.71포인트에 장을 마감했다.
같은 날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8.61포인트(1.07%) 상승한 5554.1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69.65포인트(2.17%) 뛴 1만7395.53에 거래를 끝냈다. 이날 뉴욕증시는 일제히 하락 출발했음에도 장 중 상승 반전하는 데 성공했다.
S&P500 지수 11개 업종에서는 정보기술(3.25%), 임의소비재(1.32%), 통신(1.03%) 등은 상승했지만 에너지(-0.93%), 필수소비재(-0.88%), 금융(-0.39%) 등은 하락했다.
이날 발표된 지난달 CPI는 시장 예상을 밑돌았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8월 헤드라인 CPI는 전년 동기 대비 2.5% 상승했다. 이는 전문가들의 전망치(2.6%)를 소폭 밑돈 수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3.2% 상승했다.
시장은 이번 CPI를 확인하면서 오는 17일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는 이른바 '빅컷'을 실시할 확률은 매우 낮아졌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오후 들어 기술주들의 매수세에 불이 불었다. 이는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골드만삭스가 주최하는 경영 포럼에 참석해 AI의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발언을 한 영향으로 보인다.

젠슨 황 CEO는 여전히 AI칩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최근 불거진 AI 거품론에 관해 "기업들이 '가속 컴퓨팅'을 받아들이는 것 외에 선택의 여지가 없다"며 "엔비디아의 기술은 기존 데이터 처리를 가속할 뿐만 아니라 기존 기술로는 처리할 수 없는 AI 작업도 처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엔비디아는 전날보다 8.15% 오른 116.91달러에 거래되며 3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시가총액 역시 2조8640억달러로 3조 달러 재진입을 목전에 뒀다.
대형 기술주인 ▲아마존(2.73%) ▲마이크로소프트(2.20%) ▲알파벳(1.43%) ▲메타(1.39%) ▲애플(1.12%) 등도 동반 오름세를 탔다.
엔비디아의 급등 소식에 이날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 대비 229.50포인트(4.90%) 상승한 4910.17에 장을 마쳤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1.39포인트(7.29%) 하락한 17.69를 기록했다.
국제유가는 반등에 성공했다.
이날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국제유가 기준물인 11월 북해 브렌트유는 직전 거래일보다 1.43달러(2.07%) 오른 70.62달러에,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0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1.53달러(2.33%) 높아진 67.2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의 12월물 국제 금은 전장 대비 1.20달러(0.05%) 내린 트레이온스당 2542.00달러에 거래 중이다.
관련기사
- [코인시황] 美 대선토론 해리스 승기에…비트코인 가격 하락
- [11일 마감시황] 코스피, 외국인 '1조' 매도에 7거래일째 하락…2500선 위태
- 현대차증권 "美대선 TV 토론…과거 사례 볼 때 증시 영향 제한적"
- 뉴욕증시, 금리 인하 '폭' 결정 CPI 대기하며 혼조세…테슬라 4% '껑충'
- 美 대선 첫 TV 토론…시청자 63% "해리스, 트럼프에 판정승"
- [종합] 해리스-트럼프, 서로 "거짓말" 목청…이민·낙태·물가 놓고 설전
- [12일 마감시황] 코스피, 엔비디아 급등에 8거래일 만에 반등…2570선 마감
- [코인시황] 비트코인, 앤비디아 랠리에 '반등'…5만8000달러 회복
- 뉴욕증시, 예상 부합 PPI에 금리 인하 기대 커져…3대 지수 일제 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