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성민 기자
  • 입력 2025.01.21 10:17

"IPO 주관사 책임 강화…좀비기업 상폐 요건 효율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공동 세미나'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박성민 기자)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공동 세미나'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박성민 기자)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자본시장 밸류업은 긴 호흡으로 꾸준함과 동시에 한 순간도 고삐를 놓치 않고 모멘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21일 오전 한국거래소 서울사옥에서 열린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공동 세미나'에서 "지난해부터 정부는 우리 자본시장의 밸류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올해 증시 개장식에서 밸류업 정책의 흔들림 없는 추진을 약속한 바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먼저 김 위원장은 국내 기업공개(IPO) 시장의 문제점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IPO시장은 과도하게 단기차익 위주로 운용되고 진입에 비해 퇴출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자본시장의 효율적 기능과 신뢰를 저하하고 있다는 평가와 지적이 있다"며 "IPO 시장을 기업가치 기반 투자 중심으로 변화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기관투자자가 기업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신중하게 수요예측에 참여하도록 의무보유 확약을 확대하고, 참여자격도 강화하겠다"며 "주관사가 IPO 흥행에만 힘쓰지 않고 적정 공모가 산정과 중·장기 투자자 확보를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덧붙였다. 

상장폐지와 관련해서는 이른바 '좀비기업'들의 퇴출에 속도를 내겠단 뜻을 드러냈다.

김 위원장은 "시장 신뢰를 저해하는 기업들이 원활히 퇴출될 수 있도록 요건을 강화하고 절차를 효율화하겠다"며 "시가총액과 매출액 요건을 실효성 있는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상향하고, 상장폐지 심사 단계와 개선기간 부여 한도를 대폭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또 "퇴출이 확대되더라도 투자자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장폐지 주식의 거래를 지원하고 관련 공시를 확대하겠다"며 "이러한 상장폐지 제도 개선과 함께 보다 효율적이고 투자자 보호가 이뤄지는 시장구조를 만들기 위한 주식시장 체계 개편방향도 검토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기업이 각각의 성장단계와 특성에 맞춰 자본시장에서 원활히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는 이에 따라 참여시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시장 간 차별화와 연계방안을 모색하겠다"며 "우리 시장의 특성과 해외사례를 심층분석하고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등 공론화 과정을 시작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