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4.07 11:24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금융당국이 미국 상호관세 부과 여파에 대응해 약 100조원 규모의 시장안정 프로그램을 집행하겠다고 밝혔다. 수출기업과 협력업체 등 실물경제 전반에 미칠 충격을 최소화하고, 금융시장 안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상황점검회의에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국내외 경제·산업과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라며 "다음 정부 출범까지 남은 두 달 동안 우리 경제와 금융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KB·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금융지주 회장, 은행연합회장, 금융투자협회장, 산업은행 회장, 기업은행장,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예금보험공사 사장, 한국거래소 이사장, 증권금융 사장 등이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은 본연의 기능을 다해 시장안정 유지와 금융중개가 차질 없도록 해야 한다"며 "금융지주사와 정책금융기관들을 중심으로 금융시장 안정과 실물 부문 자금 지원에 적극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수출기업과 협력업체의 경영 악화를 우려하며, "현장에서 거래 기업들의 상황을 밀착 점검하고 필요한 자금과 지원이 적시에 이뤄질 수 있도록 각별히 챙겨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당국도 유동성 공급 등 필요한 조치를 언제든 취할 수 있도록 100조원 규모의 시장안정 프로그램 집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와 PF·건설 관련 약 60조원으로 구성돼 있다.
또한 금융당국은 통상전쟁에 대응하고 우리 경제의 성장 기반을 다지기 위해 50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 조성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이럴 때일수록 당국과 금융지주, 정책금융기관 간 긴밀한 소통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집중 제기됐다"며 "당국과 금융권 간 긴밀한 소통을 통해 적시에 필요한 자금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트럼프 관세에 가상자산 시장도 '휘청'…비트코인 7만달러선 '추락'
- 트럼프發 관세 공포에 韓 증시 폭락…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 美 관세 여파에 환율 1470원대 코 앞…증시도 급락
- 트럼프 "대중 무역적자 해소 안되면 中과 협상 안해"
- [속보] 코스피, 4.3% 하락 출발…2400선 붕괴
- 美백악관 "50개 이상 국가들이 협상 요청"…관세 연기는 없어
- 대통령 탄핵 이어 조기대선 정국…향후 '주식·환율' 향방은
- KB금융, 중기·소상공인에 8조 금융지원…보증·금리우대 총동원
- 한은, 美 상호관세에 "필요시 즉각 시장 안정 조치"
- 美 관세 충격 '직격탄' 맞은 韓 증시…"변동성 더 커질 수 있어"
- 한덕수 대행, 트럼프 美 대통령과 통화…트럼프 2기 첫 정상외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