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민서 기자
  • 입력 2025.05.24 08:00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0일 경기 고양시 일산문화광장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제공=이재명 후보 캠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0일 경기 고양시 일산문화광장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제공=이재명 후보 캠프)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공식 선거운동 2주차를 '계엄·탄핵·망언' 등 이른바 '윤석열 리스크' 정면 공세로 채웠다. 12·3 비상계엄 사태, 탄핵 정국, 부정선거 논란 등 윤석열 전 대통령과 여권발 이슈를 전면에 내세우며 정국 주도권 확보에 나선 모양새다.

이 후보는 21일 인천 부평 유세에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방탄 경호' 비판에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방탄유리 앞에서 유세해야 하는 정치 현실이 조롱거리가 되어선 안 된다"며 "정적을 칼로, 법으로, 펜으로 죽이려던 정치는 반드시 끝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윤석열 정부를 겨냥해 "내란수괴는 재판을 받고 있지만, 내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제4, 제5의 내란이 여전히 국가기관 곳곳에서 획책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12·3 계엄 시도와 윤 전 대통령의 최근 행보를 '위헌적 폭주'로 규정한 셈이다.

같은 날 유세 전 기자들과 만나서는 윤 전 대통령의 '부정선거 다큐멘터리' 관람을 두고도 날을 세웠다. 이 후보는 "그 선거로 대통령이 된 사람이 이제 와서 부정선거 운운하는 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결국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을 더 강하게 부인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인천 부평구 부평역 북광장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제공=이재명 후보 캠프)

앞서 20일 경기 의정부 유세에선 윤 전 대통령과 국민의힘을 향해 "가짜뉴스로 국민을 속이고 정치를 왜곡하는 세력"이라고 비판 수위를 끌어올렸다. 최근 불거진 '커피 원가 120원' 발언 논란과 관련해선 "국민의힘이 하지도 않은 말을 조작해 자영업자 비하로 몰았다"고 반박했다. 이 후보는 "내가 자영업자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계곡 정비를 한 것인데, 그런 취지를 왜곡해 공격하는 건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번 주 유세 전반에서 진영 갈등과 정치 혐오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그는 21일 인천 계양구 유세에선 "대한민국의 가장 큰 위기는 분열과 혐오"라며 "정치인들이 좌우를 나눠 국민을 이간질하는 걸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날 부평 유세에선 "국민은 5000만개의 입과 1억개의 눈과 귀를 가진 집단 지성체"라며 "선동과 조작에 더는 속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책 비전으로는 '윤석열 정부 3년의 실패' 프레임을 깔고, 사회적 대안 제시에 집중했다. 22일 페이스북을 통해 발표한 '기본사회' 공약에선 돌봄·주거·의료·교육 등 삶의 기본 조건을 국가 책임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 후보는 "이제는 구멍 난 사회 안전망이 아니라, 빈틈없는 안전매트를 깔아야 한다"며 "기본적인 삶은 국가가 보장하는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이는 현 정부의 '선별 복지' 기조와는 결이 다른 '보편 복지' 강화 메시지로 해석된다. 이 후보는 "기존 복지제도는 일할 수 있다는 전제에만 매달려 있다"며 "초과학기술 사회에선 이런 틀로는 한계가 뚜렷하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20일 경기 의정부시 로데오거리를 찾아 방탄 유리막 안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20일 경기 의정부시 로데오거리를 찾아 방탄 유리막 안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뉴스1)

노동 안전과 관련해서도 여권 후보들과 선을 그었다. 의정부 유세에서 그는 중대재해처벌법 폐지론을 비판하며 "사업주가 형사처벌되는 게 싫으니 법을 없애자? 그게 정의냐"고 반문했다. 또 "형사처벌이 안전을 지킨다. 법 시행 이후 산업재해 사망이 줄어든 게 그 증거"라고 강조했다.

지역 현안과 관련해서는 '경기북도 분도론'에 대해 "지금 분리하면 연간 1조원 넘는 예산이 줄어들어 북부가 더 어려워진다"며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대신 미군 공여지 개발, 평화경제특구 지정 등 국가 차원의 지원책을 거듭 약속했다.

이 후보는 유세 말미마다 "투표는 총보다 강하다"며 "6월 3일은 압도적 승리가 아닌, 반드시 이겨야 하는 날"이라고 지지를 호소했다. 이재명 캠프는 "이번 선거는 윤석열 3년을 심판하고, 정치를 복원할 유일한 기회"라며 "지금은 이재명"이라는 메시지에 집중하고 있다.

열흘 앞으로 다가온 대선, 이 후보가 전면에 내세운 '윤석열 리스크 심판론'이 막판 표심을 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