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5.26 16:31
동양·ABL 노조, 고용승계 명문화·최소 600% 위로금 요구
우리금융 "인위적 구조조정 없다"…위로금 산정엔 '미온적'

[뉴스웍스=손일영 기자] 동양·ABL생명 노동조합이 우리금융 자회사 편입을 앞두고 고용 승계와 합병에 따른 위로금에 대한 합의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재진 전국사무금융노조위원장은 26일 우리금융지주 본사 앞에서 진행된 '동양·ABL생명 매각 관련 고용보장 쟁취 결의대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 위원장은 "동양·ABL생명의 합산 당기순이익이 4100억원에 달하는 만큼 인수 합병 시 우리금융지주의 비은행 부문 포트폴리오 강화 효과가 분명하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매각 위로금과 고용 보장은 명백하게 당연한 요구"라고 강조했다.
이에 동양·ABL생명 노동조합은 지난 2일 금융위원회의 우리금융지주 보험사 자회사 편입 승인 전부터 '고용 안정 협약서 체결'과 '인수 위로금 지급을 꾸준히 촉구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우리금융의 자회사 편입 승인이 확정된 만큼 노사 간 소통에 적극 나설 것으로 관측했다. 그러나 현실은 인수합병 전 노사 협의가 요원한 상황이다.
최선미 동양생명 노조지부장은 "금융위 승인 후 다자그룹이 소통 채널을 열어놨다고 해서 응했지만 협의가 진전된 것이 아무것도 없다"며 "노사 협의는 7월 주주총회 이후 신임 사장과 하라하고, 현재 양사 부서장들을 불러 업무 보고와 지주사 시너지 효과만 논의하는 것은 아이러니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우리금융 측은 노조가 우려하는 인위적 구조조정을 일축하고 있다. 과거 12개 자회사 편입 과정에서도 과도한 인력 감축을 진행한 바 없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우리금융이 보험산업을 영위한 경험이 없는 만큼 기존 인력을 최대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따라 동양·ABL생명에 대한 부당한 구조조정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그럼에도 노조가 우리금융에 압박을 가하는 이유는 향후 조직 개편과 인사 과정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근로조건 개선 방안을 규제화해 미래 임금 협상에서도 우위를 차지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동양·ABL생명 노조가 고용승계와 함께 요구하고 있는 '매각 위로금'에 대해서는 노사 간 입장차가 분명한 상황이다. 우리금융 측은 동양·ABL생명 노조 측이 요구하는 '600~1200% 수준'의 위로금 산정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최선미 지부장은 "매각 위로금 산정은 전례를 반영해 선정했고, 협상을 통해 조율할 계획이다"라며 "과거 알리안츠 그룹의 ABL생명 매각 당시를 봐도 매각 액수와 관계없이 일정 수준의 위로금을 지급했다"고 강조했다.
이에 금융권 관계자는 "전례를 봐도 매도하는 모기업에서 상당한 매각 차액이 발생했을 때 피인수보험사에 위로금을 지급했다"며 "다자그룹 측에서는 우리금융에 다소 낮은 가격으로 매각을 단행한 만큼 노조 요구만큼의 위로금 지급이 이뤄질지는 의문이다"라고 반문했다.
동양·ABL생명 노조는 다음 달 2일 조합원 총회를 개최해 다시 한번 우리금융 인수 협상에서 노사 협의를 촉구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우리금융, 보험사 CEO 내정…동양 성대규·ABL 곽희필 낙점
- 보험사 M&A 랠리…고용·건전성 관리 '촉각'
- 우리금융, 동양·ABL생명 인수 '조건부 승인'…종합금융사 전환 박차
- [속보] 우리금융, 동양·ABL생명 품는다…금융위 '조건부 승인'
- "대화 없는 인수는 폭력"…동양·ABL생명 노조, 전면전 예고
- 동양생명 노조, 노동위 조정 신청…7차례 교섭 파행
- 우리금융, 생보사 출범 앞두고 노사 갈등 고조…성대규式 통합 우려 증폭
- 동양·ABL생명, 나란히 한신평 신용등급 향상…우리금융 편입 반영
- '전운 감도는' 우리금융…동양생명 노조, 파업 쟁의행위 찬반 투표 진행
- 동양생명, 노조 파업 찬성률 95.7%…우리금융에 '최후통첩'
- 우리금융, 보험 자회사 편입 '완료'...종합금융그룹 체제 완성
- '한 지붕 두 가족' 동양·ABL생명, '우리금융 시너지' 가능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