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민서 기자
  • 입력 2025.06.25 18:00

26일 본회의 개최…李 대통령 추경 시정연설 예정

김병기(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우 의장 주재로 열린 양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우원식 의원 페이스북)
김병기(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우 의장 주재로 열린 양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우원식 의원 페이스북)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여야가 오는 26일 국회 본회의를 열기로 합의하면서, 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 심사를 위한 국회 정상화에 첫발을 내디뎠다. 본회의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추경 시정연설과 함께 한국전 참전용사이자 대표적인 지한파 정치인인 고(故) 찰스 랭글 전 미국 하원의원에 대한 추모결의안이 처리될 예정이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전날인 24일 국회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비공개 회동을 갖고, 본회의 일정과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 구성 등 현안을 논의했다. 두 원내대표는 지난 22일 이재명 대통령의 관저 오찬 이후 본격적인 대화 국면을 이어가며 본회의 일정에 합의했다.

김현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회동 후 "(본회의에서는) 추경 시정연설과 찰스 랭글 전 의원에 대한 추모결의안 채택만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성훈 국민의힘 원내대변인도 '26일 본회의 일정을 합의했느냐'는 질문에 "일단은 그렇다고 보시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여야는 지난 19일 국회 원내수석 간 실무 협상을 열었으나, 법제사법위원회와 예결위원장 등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에 이견을 좁히지 못해 본회의 개최가 무산된 바 있다. 이후 이 대통령이 양당 원내대표를 관저로 초청해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누며 여야 협상이 진전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우원식 의장은 두 원내대표에게 예결위 구성과 공석인 상임위원장 배분 협상을 조속히 마무리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함께 국무총리 인준안, 국무위원 인사청문회, 항공참사 특별위원회 활동 연장 등 대기 중인 과제들도 함께 논의하자고 당부했다.

우원식(가운데) 국회의장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병기(왼쪽)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추경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 개최 일정과 상임위원장 재배분 문제 등을 논의하고 있다. (출처=우원식 의원 페이스북)
우원식(가운데) 국회의장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병기(왼쪽)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추경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 개최 일정과 상임위원장 재배분 문제 등을 논의하고 있다. (출처=우원식 의원 페이스북)

여야 간 최대 쟁점은 5개의 상임위원장 재배분이다. 정청래 민주당 의원이 당 대표 출마를 위해 법제사법위원장직에서 물러났고, 이재명 대통령이 전재수 민주당 의원을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전 의원이 맡고 있던 문화체육관광위원장직도 공석이 됐다. 여기에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겸직 중이던 기획재정위원장직 역시 새 위원장을 선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예결위원장도 임기 만료에 따라 새로 선출돼야 한다. 여당 원내대표가 예결위원장을 맡는 관례에 따라 국회 운영위원장직은 박찬대 민주당 전 원내대표에서 김병기 현 원내대표로 교체될 예정이다.

민주당은 22대 국회 개원 당시 여야 합의에 따라 ▲법제사법위원회 ▲운영위원회 ▲예결위원회 ▲문체위원회 등의 위원장을 1년 더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여당이 된 민주당이 국회의장을 맡은 만큼, 제2당인 국민의힘이 법사위원장을 가져가는 것이 국회 관행에 부합한다고 맞서고 있다.

국회는 이날 6개 상임위원회를 중심으로 추경안 심사에 본격 착수했다. 양당은 우 의장의 요청에 따라 본회의 직후 예결위원회 위원 명단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며, 예결위 구성이 완료되는 대로 심사 일정이 가동될 전망이다. 다만 법사위원장·예결위원장 배분 문제 등 핵심 쟁점은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26일 본회의가 여야 협상의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