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민서 기자
  • 입력 2025.06.19 17:38
문진석(왼쪽)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가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원 구성 협상 등 관련 회동을 위해 각각 운영위 소회의실로 향하고 있다. (사진=뉴스1)
문진석(왼쪽)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가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원 구성 협상 등 관련 회동을 위해 각각 운영위 소회의실로 향하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19일 국회 상임위원장 배분을 둘러싼 실무 협상을 진행했지만,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한 채 다음 회동을 기약했다. 이날 회동에서는 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 처리를 위한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 구성, 본회의 일정 등 현안도 논의됐지만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양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약 1시간 30분간 비공개 회동을 했지만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고, 오는 23일 재논의하기로 했다.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 입장을 충분히 설명했고, 서로 자료를 검토한 뒤 다음 주 월요일에 다시 만나기로 했다"고 말했다.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여당 입장이 어제와 한 치도 달라지지 않아 매우 유감"이라며 "일당이 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예결위원회를 모두 차지한 전례는 없다. 견제와 균형을 위해 상임위 재배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진석(왼쪽)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가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추경 및 원구성 협상 관련 회동 후 백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출처=문진석 의원 페이스북)
문진석(왼쪽)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가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추경 및 원구성 협상 관련 회동 후 백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출처=문진석 의원 페이스북)

민주당은 법사위원장·예결위원장·기획재정위원장·운영위원장 등 주요 상임위원장 자리를 22대 국회 개원 당시 여야가 합의한 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정권 교체 이후 여야 지형이 바뀐 만큼, 법사위원장 등 일부 상임위원장은 야당 몫으로 조정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문 원내수석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추경이 국회에 제출될 예정인 만큼, 시급한 민생 현안을 다루기 위해서라도 본회의 일정을 먼저 잡아야 한다"며 "야당도 민생의 시급성에는 공감하지만, 상임위원장 두 자리를 넘겨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재차 말씀드리지만 1기 원내지도부가 체결한 합의를 번복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유 원내수석은 이에 대해 "1기 협상 당시 민주당이 대승을 거둔 후 원하는 상임위를 모두 정한 뒤, 나머지를 국민의힘에 선택하라고 한 일방적 구조였다"며 "그것을 협의라고 주장하는 데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특히 유 원내수석은 "여당은 상임위 문제와 본회의 일정을 분리하자고 했지만, 우리는 원 구성 정상화 없이 본회의를 여는 건 어렵다고 본다"며 "22대 국회 상반기 비정상적인 원 구성을 이번에 바로잡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의에서는 추경안 자체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유 원내수석은 "추경 관련 내용은 내일(20일)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에서 정리될 것"이라고 전했다.

예결위 구성이 늦어지면서 추경안 국회 처리는 당분간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양당은 오는 23일 다시 만나 후속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