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민서 기자
  • 입력 2025.07.16 10:55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특검 수사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밤 서울중앙지법에서 두 번째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대기장소인 서울구치소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스1)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특검 수사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밤 서울중앙지법에서 두 번째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대기장소인 서울구치소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내란 특검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 가족과 변호인을 제외한 외부 접견을 금지하면서, 부정선거 음모론을 주장해 온 모스 탄 전 미국 국무부 국제형사사법대사와의 접견도 무산됐다.

박지영 특검보는 16일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전날(15일) 오후부터 기소 시까지 가족 및 변호인을 제외한 접견을 제한하도록 서울구치소에 지휘했다"며 "일반 피의자들에게 적용되는 접견 금지 기준에 따라 원칙적으로 조치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날 오후 예정됐던 윤 전 대통령과 모스 탄 전 국무부 국제형사사법 대사의 접견은 불발됐다. 탄 전 대사 측 요청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알려진 이날 접견에는 윤갑근 변호사도 동석할 예정이었으나, 특검의 접견 제한 지시로 무산됐다.

탄 전 대사는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 국무부에서 국제형사사법 업무를 담당했으며, 이후 국제선거감시단 활동 등을 통해 한국의 21대 대선을 둘러싼 부정선거 음모론을 지속적으로 주장해 왔다. 그는 전날 입국해 서울대 정문 앞에서 열린 보수단체 트루스포럼 주최 집회에 참석해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옹호하는 발언을 내놓기도 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0일 재구속된 이후 특검의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고 있다. 특검은 14일과 15일 두 차례에 걸쳐 서울구치소에 윤 전 대통령을 서울고검 조사실로 데려오라고 지휘했지만, 윤 전 대통령이 건강상의 이유로 수용실에서 나오지 않아 조사는 이뤄지지 못했다.

특검은 3차 인치 지휘를 내려 이날 오후 2시까지 윤 전 대통령의 출석을 재차 요구한 상태다. 특검은 이번에도 조사에 응하지 않을 경우, 대면 조사 없이 기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윤 전 대통령 측은 특검의 강제구인 시도가 "정치적 망신 주기"에 불과하다며 조사에 응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