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희진 기자
  • 입력 2025.09.06 11:00

금리 인하·분산예치 우려 '제한적'…"실제 자금 이동은 정책이 좌우"

4대 시중은행 5월과 8월 총수신 비교. (자료제공=각 사)
4대 시중은행 5월과 8월 총수신 비교. (자료제공=각 사)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예금보호 한도 상향 이후 대형은행 예치금이 늘었지만, 이는 단순한 '심리 반영'보다는 부동산 규제와 시장 상황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하게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4대 시중은행의 총수신 합계는 1742조1426억원, 원화대출 합계는 1274조7472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기간 하나은행은 4.03%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고, 신한은행(2.17%), 국민은행(1.02%), 우리은행(0.51%)도 모두 증가했다. 대형은행 중심의 쏠림 현상이 뚜렷하다.

앞서 금융위원회가 지난달 18일 공개한 자료도 같은 흐름을 보여줬다. 올해 들어 전체 은행 예금은 3.5%, 입법예고 이후로만 2.1% 증가했다. 저축은행 예금은 5월 이후 2.8%, 상호금융 예금은 0.8% 늘었지만, 대형은행에 비하면 증가 폭은 작았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 자금 유입은 예금보호 한도 상향 효과라기보다 6·27 부동산 대책 이후 관망세로 돌아선 자금과 가상자산 자금이 안전자산으로 이동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장이 우려하는 2금융권으로의 자금런 같은 극단적 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며 "오히려 향후 국가 정책 방향이 자금 이동을 좌우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4대 시중은행 5월과 8월 원화대출 비교. (자료제공=각 사)
4대 시중은행 5월과 8월 원화대출 비교. (자료제공=각 사)

시장의 첫 번째 우려는 기준금리 인하가 단행될 경우 자금이 저축은행으로 대거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는 23일 회의에서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지난 8월 의사록에서도 위원 6명 중 5명이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동의했다.

하지만 금융권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인하되더라도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금리가 함께 내려가기 때문에 금리 격차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며 "저축은행으로의 쏠림 현상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다른 우려는 예금보호 한도 확대에 따라 분산예치 필요성이 줄면서 대형은행으로 예금이 몰릴 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1억원을 맡기려면 5000만원 씩 은행 두 곳에 나눠야 했지만, 이제는 한 은행에 몰아도 보호 범위에 들어온다.

이에 대해 금융권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분산예치 불필요성 때문에 대형은행 쏠림이 나타날 수 있다"면서도 "금리 인하가 단행되면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금리가 함께 조정돼 격차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고, 결국 자금은 일정 부분 2금융권으로도 분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분산예치 효과가 컸다면 은행 간 자금이 상쇄되며 전체 예치금 증감률은 0%가 됐어야 한다"며 "실제로는 모든 은행의 예치금이 늘어난 만큼, 자금 이동을 좌우하는 요인은 정책"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