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8.11 14:00
매수·매도 서킷브레이커 연이어 발동…투자자 혼란
"美 대선 등 불확실성 여전…당분간 박스권 장세"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이번 주 코스피는 미국에서 시작된 R(경기침체)의 공포와 앤-캐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 영향에 큰 폭으로 오르내렸다. 다만 증권가는 앞으로 단기간 주식시장이 급락하는 '패닉셀(투매)'이 재현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주(2676.19)보다 87.76포인트(3.28%) 하락한 2588.43에 마감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은 전주(779.33) 대비 14.90포인트(1.91%) 내린 764.43에 마감됐다.
이번 주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은 홀로 3조5284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조1985억원, 1조6661억원을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지난 월요일 국내 주식시장은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5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8.77% 하락하면서 4년 만에 매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하는 등 역대 최고 낙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앞서 7월 미국고용보고서 발표 뒤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하자, 외국인 투자자들이 코스피를 떠나간 영향이다. 또한 엔-캐리트레이드 청산 리스크가 높아진 점도 악재로 작용하는 모습이었다.
반면 이튿날인 6일에는 폭락 하루 만에 3%대 반등에 성공하는 등 롤러코스터 장세가 이어졌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아직 미국 경기가 점차 둔화되고 있는 것은 맞다"면서도 "향후 경기 궤적이 경착륙일지, 연착륙일지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단기간에 주식 시장이 과도하게 반응했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현재 미국 실업률(7월 4.3%)은 역사적으로는 경기 침체 우려를 논할 만큼 높지 않으나, 최근의 상승 폭이 과거 경기 침체 전 상황과 유사하다"며 "수개월에 걸쳐 계속해서 가파르게 상승한다면 재차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NH투자증권은 다음 주 코스피의 예상범위로 2500~2620선을 제시했다. 상승 요인으로 과도한 R의 공포 완화와 밸류에이션 부담 해소를, 하락 요인으로는 인공지능(AI) 분야에 대한 불확실성과 미국 대선에 대한 우려를 꼽았다.
이번 주 투자 전략에 관해서는 경계심을 가지고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나 고용보고서 등의 지표에 주목해 볼 것을 조언했다.
김 연구원은 "미국 대선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지지율이 우위를 보였다"면서도 "다만 오차범위 내 박빙인 경우가 많아 새 정부의 정책 기조를 예상하기 어렵다는 점은 주식시장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단기간에 'R의 공포'가 주식시장을 급락시키는 패닉셀의 재현 가능성은 낮아졌다"면서도 "AI 투자 지속성이나 미국 선거 등 불확실성을 걷어낼 만한 이벤트들이 9~11월로 예정된 만큼 당분간 박스권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연구원은 다음 주 관심을 두어야 할 업종으로 ▲반도체 ▲전력설비 ▲조선 ▲방산 ▲은행 등을 꼽았다.
다음 주 실적 발표가 예정된 미국 기업에는 ▲홈디포(13일·이하 한국시간) ▲시스코시스템즈(14일) ▲월마트(15일) 등이 있다.
국내 기업에는 ▲메리츠금융지주(12일) ▲셀트리온(13일) ▲삼양식품(14일) ▲한국전력·SK바이오팜(15일) ▲삼성생명(16일) 등이 있다.
다음 주 예정된 주요 이벤트로는 ▲미국 7월 생산자물가(13일·이하 한국시간) ▲미국 7월 소비자물가(14일) ▲광복절 휴장(15일)▲미국 7월 소매판매(15일) ▲미국 7월 산업생산(15일) ▲미국 7월 건축승인·주택착공(16일) ▲미국 8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16일) 등이 있다.
관련기사
- [9일 마감시황] 코스피, 기관 순매수에 1.24% 상승…2588.43p 마감
- 뉴욕증시, 고용 둔화 우려 완화에 일제히 상승…엔비디아 6%↑
- 롤러코스터 장세에 덜덜 떠는 개미들…증권가 "9월까지 급등락 반복"
- NH證 "R의 공포가 불러온 패닉셀링…美 경제지표 발표 주목"
- 김병환·이복현 "증시 낙폭 과도…신중하고 합리적인 판단해야"
- 국내 증권사, 美 주식 주간거래 정지…대체거래소 주문한도 초과
- '블랙먼데이' 외인 공포 투매 속 韓·日 증시 '와르륵'
- [12일 마감시황] 코스피, 외인·기관 순매수에 상승…2600선 회복
- [12일 특징주] 신풍제약, 뇌졸중 치료제 임상 신청 소식에 '상한가'
- [코인시황] 비트코인, 5만8000달러 선으로 '뚝'…변동성 장세 지속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