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9.04 15:29
부당대출 이후 대응방식 문제 거론…보험사 인수 위험요인 재점검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이복현 금감원장이 우리금융·우리은행의 정기검사를 앞당긴 이유를 밝혔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4일 '가계대출 실수요자 및 전문가 현장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정기검사에 착수한 배경을 설명했다.
이 원장은 "정기검사의 경우 규정상 2년 또는 3년 안에 해야 한다"며 "2021년 KB금융에 대한 정기검사를 했고, 하반기에 우리금융 정기검사를 시작해 2022년 초까지 마무리했다. 계획상 내년 초에 하게 되면 사실상 3년이 지난 다음에 하게 된다"고 말했다.
즉, 우리금융에 대한 정기검사는 3개월 일정을 앞당겨 경영진을 압박하려고 한 의도가 없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 원장은 현 경영진에 대한 날 선 비판을 이어갔다.
이 원장은 "현 경영진도 부당대출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해야 한다. 말도 안 되는 회장 관련된 대출이 일어나고 부실까지 일어나게 된 것은 과거의 일이지만 이후 대응하는 방식 등을 볼 때 그런 것들을 발본색원할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끼리끼리 문화 또는 서로 나눠먹기 문화 등이 상대적으로 팽배해 있다는 의혹이 있고, 이와 같은 조직을 개혁할 의지는 혹시 없는 건 아닌지 그런 측면에서 법률적인 의미가 됐건, 법률적 의미가 제재가 아니게 됐건 결국 경영상의 책임이 있지 않냐"고 덧붙였다.
다만 경영진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은 이사회, 주주들이 묻는 게 맞는 것 같다고 한발 물러섰다.
이 원장은 또 "감독 행정 측면에서 보면 그런 잘못된 운영이 결국 숨긴 부실을 만들 수 있는 것이고, 부실까진 아니더라도 관계지향적 운영을 함으로써 전체의 수익성이나 건전성에 숨겨진 리스크를 줄 수 있다"며 "그런 의미에서 현 경영진의 책임이라고 말씀드린 것이지, 그 이상의 의미를 말씀드린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우리금융 정기검사 후 경영실태평가 하락으로 보험사 인수 불발이 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이복현 원장은 금융당국 간 소통 부재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우리금융이 생명사 인수를 검토 중이란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계약 체결이 완료됐단 사실은 신문을 보고 알았다"라며 "생보사 인수는 영업 확장 측면에서 도움이 되겠지만, 보험사는 리스크가 은행이랑 다른 측면이 있어 정교하게 지주단의 리스크에 반영됐는지 걱정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계약이야 민간에서 하지만 저희가 인허가 문제가 있다 보니 어떤 위험 요인이 있는지를 금융위나 감독원이 소통해야 했는데, 없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우리은행, 9일부터 주택소유자 주담대·전세자금대출 중단
- 우리금융캐피탈·저축은행, 손태승 17억 대출 추가 발견…금감원 전방위 검사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손태승 저축은행 7억 대출도 몰랐나
- 보름 만에 또 고개 숙인 임종룡…"본인 포함 임직원 조사·수사 결과 겸허히 따를 것"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잇단 악재에 오늘 긴급경영회의 주재
- 검찰, '손태승 친인척 부당대출' 우리은행 본점 압수수색
- 이복현 금감원장 "우리금융 경영진, 은행 부당대출 알고도 대처 안해"
- '심사 소홀' 한 줄 규정으로 금감원 보고 회피한 우리은행
- 우리은행, 서민금융 새희망홀씨 2983억 공급…전년比 2.6배 증가
- 이복현 "은행권 가계대출 자리잡는 과정…당국 규제 최소"
- 이복현, 가계대출 정책 혼선에 사과…"국민과 은행에 죄송하다"
- 이복현 "연기금·운용사, 자본시장 선진화 위해 의결권 적극 행사해야"
- 김병환 금융위원장 "우리금융 사고 심각…회장 거취는 이사회 결정 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