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진형 기자
  • 입력 2025.06.23 18:00
이창용 한은 총재가 지난 19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원성훈 기자)
이창용 한은 총재가 지난 19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원성훈 기자)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은행장들과 만났다. 겉으론 가계부채 대응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이면에는 새 정부 금융 기조에 발맞춘 메시지 조율과 스테이블코인 관련 입장 정리가 깔렸다는 분석이다.

은행연합회는 23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이창용 총재를 초청한 은행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을 포함해 농협·신한·하나·국민은행 등 18개 사원은행장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이 총재와 은행장들은 금리 인하 전환이 예고된 상황에서 가계대출 증가가 금융시장 불안 요인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공동 대응 필요성을 공유했다.

이 총재는 "최근 주택시장 회복과 맞물린 가계부채 증가세에 주목해야 한다"며 "은행권의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무위험지표금리(KOFR) 활성화, 외환시장 구조개선, ISO 20022 도입 등 굵직한 금융정책 과제에 대해서도 은행권의 협조를 당부했다.

조용병 회장은 "은행권은 한국은행과 함께 시장 안정이라는 공동 목표 아래 실물경제 지원에 충실하겠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이날 간담회에서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문제도 수면 아래서 논의됐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현재 민주당을 중심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 주체를 법인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는데, 한국은행은 비은행권 발행 허용에 신중한 입장을 유지해왔다.

이 총재는 앞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자체는 부정하지 않지만, 비은행의 발행에는 리스크가 있다"며 견제 발언을 내놓은 바 있다.

이번 간담회 역시 주요 시중은행들과 공동 보조를 맞추기 위한 사전 교감의 일환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위가 인허가 주체로 올라서는 입법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한은이 영향력을 잃지 않으려는 움직임"이라며 "비은행의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입에 은행권과 중앙은행이 공동 대응하는 수순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연내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과 함께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한은과 금융위 간 정책 권한 조율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