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성민 기자
  • 입력 2025.09.18 06:01

4.25∼4.50%→4.00∼4.25%…10·12월 추가 인하 시사
한국과 1.75%p차로 좁혀져…파월 의장 "위험 관리 차원"

미국 연방준비제도 본부 전경. (출처=연준 홈페이지)
미국 연방준비제도 본부 전경. (출처=연준 홈페이지)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췄다.

17일(현지시간) 연준은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0.25%p 인하했다. 이는 지난 1월 20일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첫 금리 인하로, 지난해 12월 '스몰컷' 단행 이후 9개월 만이다. 

연준은 FOMC 발표문에서 금리 인하 배경으로 "올해 상반기에 경제 활동의 성장이 완화됐다"며 "고용 증가세는 둔화했고, 실업률은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면서 "인플레이션은 상승했으며, 다소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태"라며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증가했다고 판단, 금리 인하를 결정했다"고 부연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9월 FOMC를 앞두고 연준이 단숨에 0.50%p 이상의 금리를 인하하는 '빅 컷'을 단행할 수도 있단 관측이 나왔지만, 0.25%p 낮아지는 데 그쳤다. 

회의에서는 투표권자 12명 중 11명이 찬성표를 냈다. 반대표를 낸 스티븐 미란 신임 연준 이사는 홀로 '0.5%p 인하'를 주장했다. 이로써 지난 7월에 이어 9월 FOMC에서도 위원들의 만장일치가 나오지 않았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번 금리 인하를 위험 관리 차원"이라고 말했다. 

한편 연준은 올해 남은 기간 두 차례 추가 금리 인하도 시사했다.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를 3.6%로 제시했기 때문이다. 이는 지난 6월 전망치인 연 3.9%보다 낮아진 것이다. 

연준의 이번 결정으로 한국(2.50%)과 미국 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 1.75%p로 좁혀졌다. 한국은행은 오는 10월 23일 기준금리를 발표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