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8.17 15:00
세제 개편 실망 후 기관 순매도…8월 2주간 0.89% 하락
"EPS 중심 체질 개선 필요…피지컬 AI 성장 동력 삼아야"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주가지수 5000'시대를 공약한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3개월이 지난 가운데 코스피가 3200선 부근에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한 채 박스권에 갇혔다.
증권가에서는 코스피 지수의 추가 상승을 위해 기업 차원의 혁신과 더불어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정책 추진이 계속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직전 거래일인 지난 14일 코스피 지수는 3225.66포인트에 장을 끝냈다. 이달 코스피 지수는 3254.47포인트에 출발했지만, 약 2주일 간 28.81포인트(-0.89%) 하락하면서 신정부 출범 이후 계속 이어진 허니문 랠리를 멈춘 채 오히려 뒷걸음질 쳤다.
최근 미국 뉴욕증시에서 S&P500과 나스닥 지수가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고, 이웃 나라인 일본 닛케이225평균주가도 장중 4만3000선을 돌파하는 등 사상 최고를 기록한 점을 감안하면 아쉬운 수치다.
투자자별로 보면 8월 들어 기관 투자자들이 2조2334억원 어치를 순매도 하면서 지수 하락을 부추겼다.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5517억원, 7810억원 어치를 동반 매수하며 지수 방어에 나섰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지난 6월 4일부터 7월 31일까지 두 달 동안 코스피 지수는 546.47포인트(20.25%) 뛰어올랐다. 역대 신정부 출범 이후 코스피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한 건 역대 최초다.
무엇보다 코스피 지수 상승의 배경은 이 대통령의 강력한 주가부양 의지와 상법 개정에 대한 기대 덕분이었다.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주가지수 5000'시대를 공약했고, 지난달 초에는 이사의 주주 충실의무 등을 포함한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는 등 말이 아닌 행동에 따른 변화가 지수 상승을 불러왔다.
실제로 파마리서치, 하나마이크론의 분할 철회나 롯데렌탈 유상증자에 대한 자산운용사의 이의 제기, HD현대사이트솔루션의 기업공개(IPO) 취소 등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성과 역시 눈에 띄게 나타나는 추세다.

그러나 지난달 31일 발표된 세제개편안에서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이 투자자들에게 실망을 안긴 뒤 코스피는 좀처럼 3200선을 벗어나지 못하는 모양새다.
지난 12일 대통령실은 양도소득세 개편안과 관련해 "당정의 조율을 더 지켜보겠다는 대통령실의 입장은 바뀌지 않았다"며 "기재부 역시 (10억원으로 기준을 강화하는 방침에 대해) 바뀐 바 없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재명 정부의 목표인 '주가지수 5000포인트' 달성을 위해 기업 이익을 확대시킬 수 있는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태봉 iM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스피 지수의 밸류에이션은 선행 주가순자산비율(P/B) 10.7배로 2012년 지수가 박스권에 정치한 이후 밸류에이션 밴드 상단에 도달했다"며 "현 수준에서 안착하면 1차 정책 목표는 달성한 것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 지주 등 정책 수혜 업종은 단기적으로 밸류에이션 한계에 다다랐고, 관세 우려로 수출 대형주가 상승하기는 쉽지 않은 환경"이라며 "이제부터는 단순 리레이팅보다 본격적인 제도 개선과 기술 발전을 통한 주당순이익(EPS) 개선으로 증시 우상향 체질 개선을 이뤄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 센터장은 상법 개정 이후의 과제로 밸류업(주주환원)→상법(지배구조)→세법(인센티브)의 제도 개선으로 기업이익이 지수에 온전히 반영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주주, 소액주주간 인센티브 구조를 일치시켜야 하는 것이 증시 선진화 제도의 최종 목적"이라며 "궁극적으로 기업의 이익 창출 역량이 지수 EPS로 이어지는 구조가 확립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고 센터장은 정부의 코스피 5000포인트 공약이 마냥 현실성 없는 전망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산술적으로 코스피가 전고점(3305.21포인트)인 3300선에 도달할 경우 연 9%씩 상승하면 5년 뒤인 2030년에는 5000선에 도달할 것이란 전망에서다.
그는 "지난 10년간 어김없이 주가상승과 관리재정수지 적자에 따른 증시 필요성이 동시에 대두되면서 대주주 요건 강화로 국내 주식시장 활력은 떨어져왔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에 대해 너무 많은 짐을 요구하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실인 만큼, 주가지수 5000을 위해선 좀 더 주주 중심의 사고 전환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고 센터장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만으로는 5000포인트 도달이 불가능하다"며 "국내총생산(GDP)의 24%에 해당하는 제조업과 인공지능(AI)을 결합시킨 피지컬 AI를 국가 성장동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은 제조업 강국이자 IT 강국으로 피지컬 AI 전환에 매우 좋은 토양이지만, 관련 인프라와 인재가 부족하다"며 "빠른 속도의 추격이 필요하다"면서 "국가가 인프라로서의 AI 중요성을 깨닫고 다양한 산업을 이 인프라와 연결시키는 작업을 통해 디지털전환(DX)을 이어 AI트랜스포메이션(AX)에서도 성장을 만들어 내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 한정애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50억' 정부에 전달"
- 정청래 당대표 취임 후 첫 고위당정협의…'양도소득세' 기준 결론 못내
- 주식시장 혼란 불러온 '양도소득세 기준'…與 '파열음' 속 개미들 '분통'
- [밸류업 5000] 더블유게임즈, M&A 성장 가속…게임사 중 주주환원 '앞장'
- 뉴욕증시, 소비심리지수 악화에 연이틀 혼조…S&P500·나스닥 하락
- [특징주] HMM, 2조 규모 자사주 공개매수에 7%↑
- 코스피, 美 반도체 관세 우려에 1% 넘게 하락…3180선 '후퇴'
- [특징주] 美 태양광 세액공제 우려 해소에…관련株 '강세'
- [18일 특징주] 삼양컴텍, 코스닥 상장 첫날 '따블'
- 亞증시 '사상 최고' 찍는데…코스피, 정책 불확실성에 '발목'
- [밸류업 5000] 정종표 DB손보 대표, 주주환원 35% 목표…'이익 체력' 증명 고심
- [밸류업 5000] 한미약품, 확고한 'R&D' 중심 성장…투자처 '가치' 올린다
- '세법개정 정부안' 확정…대주주 기준 결론 안나
- 순항하는 '코리아 밸류업'…10대그룹 모두 '기업가치 제고' 공시 동참
- 코스피, 4년 2개월 만에 '역대 최고치'…1.7% 뛴 3317포인트 '껑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