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10.07 10:00
음식물 쓰레기 줄이고 환경도 지키는 알뜰 레시피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으레 명절을 쇠고 나면 냉장고 속 남은 음식 처리 고민이 뒤따른다. 버리지 않고 새 요리로 변신시키면 음식물 쓰레기는 줄이고, 가족 식탁에는 또 다른 즐거움이 더해진다.
7일 추석이 하루 지난 날인 만큼 냉장고에는 남은 음식으로 가득하다. 버리자니 아깝고, 계속 먹자니 질린다. 하지만 조금만 아이디어를 더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새로운 요리로 즐길 수 있다.
명절 상에서 가장 많이 남는 음식은 단연 전이다. 기름에 지져낸 전은 금세 느끼해져 손이 잘 가지 않는다. 이럴 땐 묵은지와 각종 채소를 넣어 '전찌개'로 끓여보자. 쌀뜨물이나 육수를 부어 푹 끓이면 칼칼하고 구수한 맛이 살아난다. 남은 전을 한 번 더 즐길 수 있는 알뜰한 방법이다.
잡채는 대량으로 만들다 보니 남기기 일쑤다. 라이스페이퍼에 잡채를 싸서 기름에 노릇하게 튀기면 바삭한 김말이가 된다. 김치를 잘게 썰어 잡채와 섞어 만두소로 활용해도 좋다. 잡채만두는 기름기를 잡아주고 포만감도 크다. 남은 만두는 냉동 보관해 두면 두고두고 꺼내 먹을 수 있다.
나물은 상하기 쉬운 음식이라 빨리 먹는 게 좋다. 흔히 남은 나물은 비빔밥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김밥으로 만들어도 잘 어울린다. 숙주는 물기를 꼭 짜서 무치면 아삭한 맛을 살릴 수 있고, 시금치나 고사리 같은 나물도 김밥 속 재료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동그랑땡이나 다양한 전은 먹을 만큼만 소포장해 냉동실에 보관하면 편리하다. 필요할 때 꺼내 살짝 지져 먹으면 처음 부쳤을 때와 비슷한 맛을 낼 수 있다. 김치찌개에 넣으면 국물이 더욱 진해진다.
추석 음식은 정성과 풍성함의 상징이지만, 남은 음식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새로운 요리로 재탄생시켜 가족과 다시 나누고, 올바른 처리로 환경까지 지킨다면 명절의 여운은 더 오래 이어질 수 있다.
[알아두면 좋아요] 사용한 식용유는 이렇게 버리자
기름기를 머금은 명절 음식만큼 고민되는 것이 바로 남은 식용유 처리다. 하수구에 그냥 버리면 배수관이 막히고 환경에도 악영향을 준다.
1. 휴지로 닦아 버리기: 소량일 경우 휴지에 흡수시켜 종량제 봉투에 담는다.
2. 기름 응고제 사용: 데운 기름에 응고제를 넣어 굳힌 뒤 종량제 봉투에 넣는다.
3. 냉동 보관 후 배출: 우유팩이나 종이컵에 담아 얼린 뒤 종량제 봉투에 배출한다.
4. 밀가루와 섞기: 밀가루와 섞으면 반죽처럼 굳어 처리하기 쉽다.
관련기사
- "수원에서는 긴 추석 연휴가 매일 즐겁다"…볼거리·즐길거리 풍성
- 추석 연휴 3218만명 이동…귀성길 5일이 피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추석 연휴에 ACC 공연 유튜브로 즐기세요"
- "추석 당일 고속도로 제일 막혀요"…8일 오후부터 평소 수준 회복
- 엄마는 피부관리·아빠는 골프 후 스트레칭…바디프랜드 '가족 맞춤 안마의자'
- '추석 화재' 지난 5년간 1170건 달해…'K급 소화기' 준비해야
- 7일간의 추석 연휴…"쓰레기 배출일 확인하세요"
- "다 같은 홍삼 아니네?"…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 확인해야
- 추석 귀성길, 휴게소·축제장서 '신권' 교환 가능해요
- "여권 챙겼다면 보험까지"…추석 황금연휴 해외여행자 보험 '이모저모'
- 추석 연휴 아프다면…'문 여는 병·의원' 여기서 확인하세요
- 귀성길 안전 이것부터…'최장 10일' 장거리 운행 '체크리스트'
- 백화점·아울렛·대형마트, 추석연휴 집중 휴무일은 '6일'
- "환전만 해도 괌 리조트?"…황금연휴, 은행 혜택 누려보세요
- 경찰청, 추석 연휴 대대적 음주운전 단속…'낮술'도 예외 없다
- "문자 링크 눌렀더니 계좌 털려"…카톡 '보호나라'로 스미싱 확인하세요
- 추석 연휴, 車 고장나면 어쩌나…"긴급출동·무료견인서비스 이용하세요"
- 긴 연휴에 고기 수요도 '껑충'…"소고기는 밝은 선홍색으로"
- 추석 연휴 '통행료' 없이 고속도로 지나세요…4~7일 나흘간 면제
- "황금연휴 해외여행 못 갔다면?"…무료 개방 '고궁·조선왕릉' 놀러 오세요
- "추석 장바구니 걱정 NO"…2차 소비쿠폰 적극 활용하세요
- 뭐하고 놀까?…게임하면 "아이템 와르르"
- '考'는 왼쪽, '妣'는 오른쪽…추석 차례상 지방 쓰는 법
- 웹툰 기반 K-드라마 쏟아진다…방영 전 원작으로 예습 어때?
- 부산→서울 8시간 10분…추석 이튿날 귀경길 곳곳 정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