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8.22 10:00
포트폴리오 변경 없이 불황 버텨…2년 전부터 본격 흑자
10년 끊긴 배당, 여력 갖춰지면 주주환원 확대 의사 충분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2010년대 중반부터 재무 악화에 허덕여 온 삼성중공업에 주주환원 정책 시동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주주가치 제고에 따른 주가 부양을 내용으로 밸류업 정책을 강력하게 밀고 있는 데다가, 조선이 호황기에 접어들면서 최근 2~3년간 삼성중공업 재무구조도 개선되면서 주주환원 여지가 생겼기 때문이다.
삼성중공업 주가는 지난 21일 1만9210원으로 마감했다. 이달 들어 최근 52주 내 신고가인 2만200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2010년대 조선업계 대규모 해양플랜트 부실 사태를 겪은 삼성중공업은 그 후유증으로 지난 2021년과 2022년 적자가 이어지며 주가가 주당 3000원대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주주들도 당시 자본잠식 사태를 막고자 한마음 한뜻으로 사측의 무상감자와 유상증자 방침에 기꺼이 협조했다.
그 결과 당시보다 주가는 3~4배 이상 상승한 상태다. 이는 단순히 시장 기대감만이 아니라, 기업의 기초체력이 실제로 개선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다.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2010년대 부실 사태 직후 해양플랜트 등 고부가가치 포트폴리오를 거의 접다시피 했다. 반면 삼성중공업은 수주가 거의 끊긴 상황에도 꾸준히 해양플랜트 부문을 유지한 반면, 상선 부문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위주로 선택과 집중 전략을 취했다.
그 결과 삼성중공업은 호황 사이클을 다시 맞은 2023년 들어서는 9년 만에 연간 영업이익 흑자(2333억원)를 달성했다. 지난 2024년에는 매출액 9조9031억원, 영업이익 5027억원으로 전년보다 영업이익이 115% 급증했다.
삼성중공업의 상승세는 올해도 지속되고 있다. 이미 2분기 영업이익만 2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11년 만에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연간 매출 및 영업이익 목표도 각각 10조5000억원과 6300억원으로, 불과 5년 전만 해도 상상도 못 할 액수를 제시한 상태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삼성중공업의 최근 2~3년간 재무 흐름은 오랜 적자 터널을 벗어나 안정적인 흑자 기조에 진입하는 등 확실히 과거와는 달라진 양상"이라며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재정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중공업은 타 조선사들과 달리 재무구조 개선이 더뎠던 만큼, 당장은 주주환원 정책을 마련하지 못한 상태다. 이전 호황기 끝물인 지난 2014년 이전만 해도 매년 18% 수준의 배당성향을 기록했지만, 적자로 돌아선 2015년부터는 배당이 없었다. 주주들도 고통 분담 차원에서 이를 받아들였다.
불황 후유증을 이제 막 극복한 상태라 구체적인 밸류업 프로그램 활동 내역을 공시하지 않았으나, 조만간 정부 밸류업 기조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지배구조 보고서를 통해서도 수익성이 담보될 경우 과거 배당 성향인 18%에서 국내외 유사 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하겠다는 의지도 보였다.
또 다른 증권업계 관계자는 "주주환원 정책을 검토 중이라는 수준을 넘어 배당 재개 시점 및 배당 성향,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계획 등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해 고통을 분담해 온 투자자들에게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고 기업 신뢰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밸류업 5000] 한국타이어, 2030년 글로벌 5위 목표…주주환원 업계 '선봉'
- [밸류업 5000] 코웨이 'K-생활가전 신화' 매출 5조 눈앞…순익 40% 주주환원
- [밸류업 5000] 파수, 'AI 시대' 밸류업…"2030년 매출 2배·영업이익률 3배"
- [밸류업 5000] 슈프리마, 글로벌 통합보안 시장 정조준…성장 가속 모색
- [밸류업 5000] 에스원, AI·신사업으로 성장 동력 확보…주주환원 적극
- [밸류업 5000] 종근당, 4.98% 자사주 소각여부·R&D 모멘텀 주목
- [밸류업 5000] 넥센타이어, 2030년 매출 '4조 클럽'…핵심 키는 '유럽'
- [밸류업 5000] LG엔솔, 흑자전환에 주가 우상향…ESS 대규모 수주 기대감↑
- [밸류업 5000] KT&G, 올해 '해외 궐련 매출' 국내 넘어선다…주주환원율 1위 위엄
- [밸류업 5000] 더블유게임즈, M&A 성장 가속…게임사 중 주주환원 '앞장'
- [밸류업 5000] LG생활건강, K-뷰티 '왕의 귀환' 총력전…배당성향 30%로 높여
- [밸류업 5000] SK하이닉스, 영업익 10조 고지 보인다…하반기 기대감 '업'
- [밸류업 5000] 대한항공, 글로벌 10위 도전…'3대 축'으로 성장 가속
- [밸류업 5000] '자사주 소각 1호' 삼성화재, 차별화된 지표로 안정적 밸류업 '착착'
- [밸류업 5000] 메리츠금융, '김용범 매직'에 주주수익률 '훨훨'…호실적·자사주 매입 결실
- [밸류업 5000] 지방금융 톱랭커 JB금융…밸류업 동력은 '틈새공략·해외성장'
- [밸류업 5000] 우리금융 CET1 목표 달성 속 주주환원 확대…주가 부양 '정공법'
- [밸류업 5000] 기업가치 높이는 신한금융…주주환원 신뢰도↑
- [밸류업 5000] 삼성증권, 발행어음 진출로 WM·IB '투트랙' 가속…주주환원 확장 '시그널'
- [밸류업 5000] 키움증권, 기업가치 제고 '1호' 공시 타이틀…하반기도 호실적 '예약'
- [밸류업 5000] KT 'AICT 전환' 날개 달고 최대 실적…주주환원까지 '두 마리 토끼'
- [밸류업 5000] SKT, 혁신 품은 'AI 성장주'로…주주친화 재도약
- [밸류업 5000] LG전자, 창사 첫 자사주 소각…하반기 'B2B' 승부수
- [밸류업 5000] 현대차, 美관세 파고 넘어 글로벌 '톱2'…주가 반등도 '시동'
- [밸류업 5000] 동국제강그룹 "배당은 은행 예금이자 수준 넘어야"
- [밸류업 5000] 하나금융지주, 50% 주주환원 '속도전'…PBR 1배 넘본다
- [밸류업 5000] KB금융 "주주환원도 급이 다르다"…초과이익 자사주 매입
- [밸류업 5000] 고려아연의 이유 있는 글로벌 1위…'ESG'가 곧 밸류업
- [밸류업 5000] 삼성전자, 7만원대 '점프'…10조 자사주 매입+대형 수주 콜라보
- [밸류업 5000] '잘 나가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밸류업 계획도 '훈풍'
- [밸류업 5000] 포스코그룹 주주환원 '꾸준'…안전·불황 파고 넘어야
- [밸류업 5000] 미래에셋증권, 주주환원 프리미엄 대표株…신사업 성장 '기대'
- [밸류업 5000] 한국금융지주, 실적으로 증명하는 기업 가치 제고의 '정석'
- [밸류업 5000] CJ그룹 '지주사 디스카운트' 벗어나나…상법개정 수혜 기대감
- [밸류업 5000] 정종표 DB손보 대표, 주주환원 35% 목표…'이익 체력' 증명 고심
- [밸류업 5000] 한미약품, 확고한 'R&D' 중심 성장…투자처 '가치' 올린다
- 대미투자 망설이던 삼성중공업, 한미 조선 협력 본격 '시동'
- [밸류업 5000] 현대백화점그룹 '비전 2030' 착실한 발걸음…매출 40조 70% 달성
